은적산(394.6m,영암)남북종주 (13km/5시간 30분 예상)
은적산(隱跡山)은 남북으로 뻗어있는 13km의 산줄기 최고봉인 상은적산(392.9m)과 은적산(305m)으로 이어지는 뚜렷한 산줄기이다.
부드러운 육산으로 이어지다가 기암과 바위벼랑을 걸친 장대한 능선이 펼쳐지고,월출산에서 별매산을 거쳐 두억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산수화를 보는 듯 아름답다.
좀 더 높은 망대에 올라서면 호남의 젖줄인 영산강과, 그 너머로 목포 유달산에 이어 목포 앞바다까지 바라보인다.
동쪽으론 주지봉(490.7m)과 문필봉, 그 뒤로 월출산(808.7m)의 기암이 멋진 자태를 뽐내고, 오른쪽으로 월각산(456m)을 지나 장대한 흑석지맥이 영암벌을 감싸안을 듯 품을 활짝 펼치고 있다.
함정굴이라는 이름은 옛날에 짐승 사냥을 위해 함정을 파놓은 곳이란 뜻에서 유래한 것이다.
용의 형상으로 기우제를 지낸다는 용지봉을 거치면 시야가 트이고, 구멍 바위를 지나면 도선국사가 수학한 곳이기도 한 옥룡암(玉龍庵)터가 나온다.
절터 뒤쪽 커다란 바위 아래에선 석간수(石間水)도 나고 있다.
옥룡암은 1628년(인조 6)에 폐사된 것으로 전해진다.
상은적봉을 지나면 동쪽으로 사모관(紗帽冠) 형상의 기암인 관봉(冠峰·296m) 능선이 한눈에 들어온다.
이 길은 남북종주코스 외에 탈출로가 되고 있다.
상은적산 북쪽에는 길이 70m의 베틀굴이 있지만 지나치게 되고, 불치를 거쳐 오르면 하은적산 정상인 마당바위가 나타난다.
불치(佛峙)는 ‘불현(佛峴)’, ‘부치고개재’등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고갯마루에 부처를 모신 당집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된 것.
은적산 남북종주 뚜렷한 산줄기는 영산강가에 멈춰서 건너편의 무안군 일로읍 소댕이와 마주한다.
산줄기가 끝나는 영산호 두 번째 규모인 서호 양수장이다.
팁 : 조금 떨어진 곳에 왕인유적지가 있고, 가까이 철암산 능선엔 보물 1309호인 고려시대 매향비(영암 엄길리 암각 매향명)가 있다.
하은적봉 부근의 바위지대. 뛰어내리면 빠져들 듯 영산강이 가까이 바라보인다. 강줄기 끄트머리가 목포시다.<월간 산>
1: 하은적봉 남쪽 바위 조망대에서 영암벌을 바라보는 최연호씨(앉은 이)와 오정현씨. 학파 제2저수지 뒤로 월출산이 봉긋 솟아올랐다.
2 용지봉과 상은적봉 사이의 괴음마을 분기점.
3 하은적봉 정상. 뒤쪽 상은적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바라보인다. <월간 산>
1 불치를 향해 걸어가는 취재팀. 가뭄에도 물이 가득 찬 영풍제와 서호면소재지 일원이 바라보인다. <월간 산>
1 하은적봉에서 영산강변 도로로 내려서는 일행.
2 서호면 장천리 괴음마을 도로변에 위치한 선사주거지. 지석묘도 바로 옆에 있다.
3 구멍바위 남쪽 기암 꼭대기에서 월출산에서 가학산~두억산으로 하늘금처럼 이어지는 능선을 바라보고 있다. <월간 산>
구멍바위 남쪽 기암에서 바라본 월출산 산줄기와 별매산(맨오른쪽 봉).
땅끝기맥은 별매산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가학산 줄기와 헤어져 만덕산으로 이어진다.<월간 산>
.
'산행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비슬산 지도 (부산일보 2007,2.8) (국제2015.4.29관기봉) (0) | 2016.04.06 |
---|---|
월출산-산성대코스 (0) | 2016.03.31 |
거창 우두산, 의상봉, 장군봉 산행 정보 (0) | 2016.03.20 |
백계산 정보 (0) | 2016.03.20 |
구례 계족산 산행 지도 (0) | 2016.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