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山

창원 정병산-봉림사지 20211006 수

benel_jt 2021. 10. 6. 19:05

창원 정병산-봉림사지 20211006 수  솔로(K,R)

 

코스 : 창원중앙역-용추주차장,용추계곡입구관리소-용추정(샘)-용추고개/체육쉼터/능선-내정병산-수리봉-정병산-소목고개-봉림산-봉림사지약수터-봉림사지-봉림사지삼층석탑(상북초등학교내)-종료-택시로 창원중앙역 이동<11km/5:40>

 

택시승차 후에 앱을 동료함에 따라 이동 거리가 제각각 차이가 있다.트랭글은 즉시 종료되지 않아 역까지 이어졌다.

제일 먼저 종료한 램블러를 기준으로 삼아야하겠다. <11.km/5:40, >

 

 

정병산 GPX 트랙 파일 첨부 :

정병산 봉림사지__20211006_0740.gpx
0.21MB
창원_정병산_봉림사자2021-10-06_07-39.gpx
0.47MB
Tr_창원_정병산_봉림사지_20211006.gpx
0.11MB

 

창원중앙역

역에서 나가 용추등산로 입구 안내소에는 주차공간이 있고, 안내도와 에어건 등이 잘 준비되어 있다.

그런데 해충기피제 분사기는 작동을 하지 않고 있었다.

일단 용추고개 방향으로 진행.

목재의 홍교를 건너면 바로 용추정(井)을 만난다.

 

용추정의 수질 검사 결과는 '적합'

 

비룡샘터는 그 이름이 연원이 도대체 뭐길래...

용추정은 용추계곡과 고개가 있으니

 

숲속나들이길 방향으로는 길이 잘 닦여져 있는 편이다.

경사가 급한 길에는 밧줄이 이어져 있다. 

능선에 오르니 용추고개, 체육시설이 있어 사람들이 제법 보인다.

건너편으로 보이는 비암산

우곡사갈림길

오름길에는 다시 원목계단과 밧줄이 이어진다.

내정병산 정상의 돌탑과 목각작품들

내정병산정삭석인 듯한데 도무지 읽히지를 않은다.

 

진영방향이다.

아마도 자동차운전면허시험장인 듯하다.

하얗게 생긴 도로는 주행 평가,

우측으로 소나무에 가린 시멘트포장된 구간과 옆의 건물 등은 기본코스를 평가하는 곳인 듯.

 

우회등산로는 좌측 아래로 내려가는데, 철계단 증산로는 직진이다.

 

수리봉, 독수리바위의 바로 아래에서 잠시 한 컷...

양쪽은 직벽은데 계단으로 오른다.

조심 조심...

또 이어지는 암봉

산 아래 보이는 저 건물이 사격장인 듯

단발의 총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정병산 수리봉

2013.1.8에 형제들과 사격장을 거쳐 정병산에 올랐을 때는 이 부근에 눈과 빙판이 보이고 날씨가 추워

정상에서 바로 내려간 아쉬움이 있었는데 오늘에야 오른다.

그 날은 내려간 게 잘 선택한 것 같다.

  

김해의 진영, 진례 방향

우측의 M자형의 산이 노현산이라고 한다.

언젠가 한 번 갈 일이 있을 것 같다.

아래에 면허시험장 같은 시설의 우측이 보인다.

 

독수리바위 능선의 양방향에 경고판이 붙었다.

 

10월인데 이 능선에는 철쭉이 계속 피고 있다.

 

 

쑥부쟁이와

철쭉과

미역취가 끝이 없다.

정병산 정상의 정자 이름이 '전단쉼터'

해군이나 해병대와 관련있는 이름인가?

 

정병산 정상석 앞의 삼각점

 

정병산 정상석

 

정상에서 조금 지나서 산불초소와 산불방지시스템이 있다.

저 아래 좌측이 촛대봉이라고 한단다.

그 다음의 봉우리는 이름이 없는 것 같은데

중머리봉(승두봉, 중***봉)은 어떨까...

이 길도 보니 철다리에 편한 길이 아니다.

나는 이곳 지도를 보면서 트랙을 그릴 때 저 아래 동읍에서 올라 오는 것으로 했는데

차라리 내려가는 방향을 선택해야할 것 같다.

 

여기서 동읍 작여마을로 이어지는 등산로도 있다.

그런데 다닌 흔적이 별로 없는 것 같다.

 

봉림사지 방향을 가늠해 보면서

 

정상의 전단쉼터를 뒤로 하고 내려간다.

 

소목고개에서 낙낙정맥을 이탈하여 앞에 보이는 봉림산을 향한다.

봉림산 정상에 붙은 표지에 290m, 어떤 표지는 295m도 있다.

좌로는 봉림사, 우로는 천주산 방면,

내가 찾는 봉림사지는 봉림사는 아니다.

 

봉림사 방향으로 가다가 봉림사지 약수터로 우향.

봉림사지 약수터 부근이 봉림사지다.

봉림사지 약수터다.

물은 '적합'으로 인증되었지만 마실만큼 보이지는 않았다.

약수터 바로 옆에 '봉림사지 50m'라는 안내판이 있는데 방향을 나타내지 않아 약간 혼란.

그런데 대찰의 위치가 될법한 지형이라면 너른 터가 있어야 할 것.

그래서 뒤돌아 약수터 옆으로 난 길을 따라 태복산 방향이정표가 가리키는 길을 따랐다.

절터에 넓게 휀스를 치고 있어 처음에는 사유지처럼 보였지만 작은 출입문이 있다.

안내문을 보고 안으로 들어갔다.

사진의 가장 왼쪽에 있는 '봉림사지 삼층석탑'은 여기서 나가서 상북초등학교에서 보아야 한다.

 

 

구산선문과봉림사.txt
0.02MB

창원 지귀동 봉림사지삼층석탑
知歸洞鳳林寺址三層石塔


경상남도 창원시 봉곡동 상북초등학교에 있는 고려 전기 삼층석탑.

봉림사지 삼층석탑은 신라 말 봉림산문(鳳林山門)의 중심 사원이었던 봉림사에 있던 통일신라 양식의 석탑이다. 현재의 탑은 일제강점기 때 밀반출되었던 것을 찾아와 복원한 것인데, 원 탑지에서는 발굴을 통해 지대석과 탑구역, 돌 등이 확인되었다.

원래의 위치는 봉림사지 내 금당으로 추정되는 동편의 건물지에서 서쪽으로 약 20m 가량 떨어진 지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창원시 봉곡동 소재 상북초등학교 정문 오른쪽 화단에 복원되어 있다.

탑은 2중 기단을 갖춘 삼층석탑이다. 재질은 2, 3층 탑신은 붉은 기운이 도는 화강암이고, 상륜부는 백운모 화강암이다. 1층 탑신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각층의 지붕돌은 4단 겹처마로 처리되었다. 전반적으로 통일신라기의 양식을 보이며,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체 높이는 약 250㎝이다.

봉림사지 삼층석탑은 복원 과정에서 일부가 변형되었는데, 원형은 안산암재의 2중 기단을 갖춘 삼층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봉림사지에는 지대석 등 원래의 탑재가 일부 남아 있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역에서 뒤돌아 본 정병산

 

<교통편>

화명-창원중앙역 06:43-82 / 2500x2=5,000원

상북초-창원중앙역 택시 6100원

간단한 점심(역 구내) 16500+1200원=17700원

창원중앙역-화명역 14:50-15:41

상북초-창원중앙역.txt
0.00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