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시루봉 무학산 봉화산 20210803 화 솔로
코스 : 중리역-낙남정맥갈림길-시루봉(시루바위갈림)-시루바위-시루봉(661)-무학산(761)-서마지기-만남의 광장(회원구지리적중심표지)-봉화산()-봉수대-봉국사 <앱종료 후 이동> - 마산역<12.4km/5:00, 마산역14.1km/5:35>
06:25 Ex
06:43-07:57 화명역-중리역
08:00 산행 시작
08:04 들머리[무학산정상5.8, 시루봉5.2]
이정표의 거리는 정확하지 않음
08:22 서원곡갈림[중리역0.6, 무학산5.2, 서원곡12.3]
08:36 [중리역1.1, 무학산정상4.7, 시루봉4.1]
08:54 [중리입구2.1, 무학산정상3.7, 시루봉갈림길2.5]
09:15 낙남정맥만남[중리입구2.3, 마재고개1.2, 정상3.5]
09:38 [중리입구3.6, 무학산정상2.2, 시루봉갈림길1.0]
09:51 [중리역4.2, 마재고개3.1, 무학산정상1.6, 내서(원계)2.0]
10:02 시루봉(662m),시루봉갈림길[중리역4.5, 내서(원계)2.3, 무학산정상1,3, 시루바위0.7]
10:14-24 시루바위
10:35 시루봉갈림길,시루봉(662m)
10:38 시루봉갈림길[중리역4.6, 내서(원계)2.4, 무학산정상1,2]
11:10 무학산(761.4m),헬기장 [내서중리역5.8, 마재고개4.7, 마산여중3.9, 서원곡주차장1.9, 만날고개3.6]
11:13-11:20 365계단
11:20 서마지기
11:21 [마산여중3.6, 무학산정상0.3, 성로원3.2]
11:29 데크계단 시작
11:34 데크계단 시작
11:37 쉬어가는 숲 [무학산정상1.3, 마산여중2.6, 만남광장1.1]
11:56 마산회원구 지리적 중심점 표지, 만남광장, 정자, 체육쉼터
[↖무학산정상2.4, ↓마산여중1.5, ↘봉화산체육쉼터1.2]
12:21 체육쉼터[↖무학산정상3.6, ↓봉천사0.6, ↘봉국사(석전동)1.1, 무재개아파트1.1]
12:24 [↖배넘이고개1.2, ↓봉천사0.6, ↘봉화산0.25]
12:29 봉화산 정상(265m), 산불초소
12:31 체육쉼터
12:36 길아래 정자 데크쉼터
12:36 봉수대, '봉화산 성황당 봉수대'
간봉6로 : 진해고산봉수대-함안칠서안곡산봉수대-창녕현풍소산봉수대---직봉2로---서울 목멱산(남산)
12:45 둘레길 이정표
12:51 에어건, 산불초소
12:53 봉국사
12:54 데크계단 [무학산4.8, 만남광장2.4, 봉화산0.8, 무학산둘레길0.3, 석전사거리0.18] <산행종료, 13:00앱종료>
마산역으로 이동 약 1시간의 여유
14:35(10분 연착14:45 도착) 16:00 화명역
16:20 귀가
교통비 : 화명-중리 3,100, 마산-화명 2800, 계5,900
좌측 3개는 봉국사 종료, 우측1개(램블러)는 마산역에서 종료
무학산 GPX트랙 파일 첨부 :
트랭글은 시루바위에서 연결이 끊어짐
중리역에서 내려 교차로에서 좌로 건너면 산길들머리가 보인다.
무학산둘레길 종점, 여기가 들머리
중리역에서 무학산정상까지 5.8km, 시루봉까지 5.2km
이어지는 등로의 능선 곳곳에 쉼터의자가 만들어져 있고, 길도 완만하며, 잘 다듬어진 편한 길이다.
곳곳에 적당하게 이정표가 정비되어 있다.
시루봉갈림길이라고 하는 곳에 시루봉이라고 표시한 지도나 표지는
그냥 '시루봉갈림길'이라고 하고,
'시루바위'를 '시루봉'이라고 불렀으면 좋을 걸...
마재고개는 낙남정맥이 이어지는 고개
시루봉갈림길의 이정표,
중리역사에서 나오면서 시작한 앱의 거리가 4.8km다.
시루바위 갔다가 다시 이곳의 거리를 보니 5.7km다
그렇다면 편도 0.45km가 된다.
이정표에는 시루바위 0.7km로 되어 있다.
휴식 포함해서 약 30분이 소요되었다.
이 시루봉은 봉으로서의 의미가 느껴지지 않는다.
단지 시루봉(시루바위)로 가는 갈림길을 알리는 의미..
시루바위로 가는 길의 전망바위에서 조망
시루바위로 올라가는 철계단 높지 않고, 완만하고, 폭도 넓어 안전한 편이다.
올라가면서 되돌아본 시루봉갈림길이 있는 봉우리 부분과 내려온 길, 우측은 무학산 능선부분
각도를 더 우로 돌려 무학산 정상 방향
시루바위 정상부분, 면이 평평하여 그대로 헬기장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올라온 철계단과 반대편으로 내서쪽으로 내려가는 데크 계단이 있다.
다시 갈림길로 되돌아 오는데 약 30분이 소요되었다. 조망과 휴식 포함
날이 너무 더워서 물을 마시고 조망하는 시간이 포함된 정도. 길은 좋은 편이다.
산해박
달맞이가 핀 헬기장
무학산 정상석(761.4m)과 태극기, 바로 아래 헬기장,벤취 등이 있고
서마지기로 내려가는 365계단은 아래에서부터 위로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날짜가 적혀 있다.
마재고개에서 만날고개까지는 8.3km, 적당한 거리네.
오늘은 마산여중 방향으로 가다가 만남의 광장 체육쉼터에서 봉화산 방향으로 길게 내려간다.
정자는 곳곳에 있다.
서마지기에서 앞으로 넘지 않고 살짝 좌측으로 비켜 지나간다.
서마지기에서 봉화산 방향으로 가는 길은 사람들의 흔적이 많지 않았다.
이 데크 좌측에 등로가 희미한데, 데크를 따라 우로 방향을 잡으니 결국 같은 방향이다.
역시 관리가 되는 길이 좋아...
여기서부터는 봉화산까지 중간중간에 무릇이 많이 보인다.
만남의광장 체육쉼터의 중간에 표지가 하나 있다.
마산회원구의 지리적 중심이라고 하는데...
회원구의 지도를 보니 원은 아닌데....
정사각형도 아니고..
그냥 의미 부여만하면되는기라...
그게 정치아닌가.
너네들은 그냥 말하는대로 믿기만하면된다....ㅎ
그럴수록 불신이 크지는 민심도 읽을 수 있어야 하느니라...
회원구중심표지 옆에 있는 정자..
만남의 광장에 있는 체육기구들, 여기서 우로 돌아 내려가면 멀잖아 마여중 방향이라고 하는데ㅔㅔ
나는 봉화산 방향으로 잡았다.
그런데 봉화산이정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가까이 가야 한 번 정도 있고 정상석이 산불초소와 함께 있다.
봉수대는 조금 더 떨어져 있고...
봉화산 250m 앞에서야 봉홧나의 이름이 적힌 이정표 하나 보인다
조금 내려가면 조망이 막힌 정자 하나가 길 아래에 있다.
봉화산성황당봉수대 안내판
봉수대가 급조된 포진지 같은 느낌이 든다.
봉수대 바로 아래에 또 하나의 전망 정자
이 삼각점은 정상이 아닌 석전동 봉국사 부근의 석전동 언덕 위에 있다고 하는 게 맞을 것 같다,
에어건
산불초소
봉국사
좁은 차도 옆에 있는 데크 계단
계단 끝에 내려서면 석전사거리까지 180m 거리다.
더워서 택시를 탈까 했는데
시간을 보니 도보로 가도 될만한 거리에 도보로 가도 시간이 1시간은 충분히 여유가 있다.
시가지나 둘러보면서 천천히 가기로 마음을 먹는다.
마산역까지 약 1.7km 거리다.
대로에서 바로 벗어난 뒷길의 풍경이다. 역으로 가는 지름길..
마산역 건물 안에서 탑승하기 위해 이동하는 중에 알림판이 하나 있는데...
견착사격하는 걸 보니 3.5인치 대전차 로켓포 같다.
로포 대신에 수류탄으로 육탄 돌격하여 궤도를 이탈시키는 전략이 고작이었었는데
그 때 우리에게 총질하던 그들이 바로 동족이었던가.
'樂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양 천왕산 망덕산 망덕포구 배알도 20210811 수 (0) | 2021.08.11 |
---|---|
양산 천성산용소골 원적산봉수대 지푸네골 20210806 금 (0) | 2021.08.06 |
창원 베틀산 평지산 20210731 토 (0) | 2021.07.31 |
울산 동축산 마골산 20210728 화 (0) | 2021.07.27 |
울산 배내봉 간월산 20210724 토 (0) | 2021.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