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대암산-무월봉-태백산-천황산 20200418 토 솔로(with R&L)
코스 : 합천군 초계면 유하리 유계마을회관-유계교-제각-임도-임도이탈-묘도-임도-임도이탈-대암산(591.1) 정상-임도-임도이탈-무월봉(607.6)-태백산(578.6)(헬기장)-고개 도로-천황산(687.6)-655.4,삼각점/(대곡령봉)-철탑능선-정토리-정토1교-유계마을회관 <18.69km/8:22/시작09:48-종료18:11>
07:25 화명동 탑승, 남양산 경유
09:41 유계마을회관 앞 하차
09:52 산행 시작
10:10 제실
10:12 임도
10:33 임도이탈 / 과수원길, 샛길, 묘도
10:58 임도
11:10-11:30 임도에서 간식, 임도이탈
11:56 대암산 정상(591.1m), 주변 조망/악견산, 황매산, 한우산, 자굴산, 미타산...팽나무
12:22 대암산 주차장
12:35 금붓꽃
12:38-12:42 무월봉(607.6m)
13:44 태백산(578.6m)
14:36 큰고갯재
14:58 지능선으로 오르는 계단
15:34 국사봉갈림길, 무덤
14:36 [미타산4.3, 큰고갯재2.7]
15:37 천황산(687.6m)
15:54 천황산삼거리[미타산3.3, 큰고갯재2.3, 국사봉2.7]
16:04 [미타산3.6, 큰고갯재3.6]
16:07 대곡령봉(655.4m),삼각점 655m[미타산3.6, 큰고갯재3.6]
16:14 철탑/지체시간이 많음
17:11 초계정씨묘역
17:27 산길끝/농로시작
17:33 도로 만남
17:43 정토1교
17:58 무릉마을 버스정류소, 무릉마을 입석
18:12 원당리, 유계마을회관 앞 산행 종료
대암무월태백천황산 GPX트랙파일 첨부 :
,
유계마을회관 앞 하차/ 유계마을은 합천군 초계면에 있고 대암산, 무월봉, 태백산, 천황봉, 미타산이 남서쪽으로 버티고 있는 곳이다.
저 앞의 능선으로 대암산을 갈까 했는데, 이곳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그쪽은 길이 묵어 들어갈 수 없다고 한다.
결국 좌로 방향을 바꾸었다.
처음 계획은 앞에 수로가 다리처럼 보이는 저 수로의 우측으로 능선을 따라 가려고 했는데
주민들 3명이 각각 만났지만 그곳은 길이 묵어 진행하기 어렵다는 말과 좌측으로 올라가라는 말을 참고,절충하여 코스 수정.
좌로 가서 제실 왼쪽의 임도를 따라 올라가다가 꺾어지는 곳에서 최단 거리로 치고 오르는 길을 선택했는데 길이 매우 불편하지만 거치른 묘도가 연결되어 있어 조금 갈만하고, 마지막 묘는 위에서 내려 온 흔적이 약간 있어 오르면 임도에 이어진다.
임도 만나서 우로 비스듬히 오르다가, 좌로 급히 꺾어 오르는 부분에서 우측으로 난 경사면의 샛길로 올랐는데 그 길도 만만치 않게 굽어 돈다.
그렇지만 정상에 멀지 않은 길이다. 임도를따라갔다면 갔던길을 되돌아 내려와야 하는 게 내키지 않아 우로 돌았던 것.
낡은 재실 앞을 지나 좌측에 임도가 있다. 그 임도를 따라 올라갔다.
이 임도는 위에 농장도 있지만, 대암산 정상 부근에 대형주차장도 있고, 패러그라이딩 활공장이 있어 차량의 출입이 있다.
실제로 오르내리는 차량을 몇 대 만나기도 했다.
임도가 좌로 도는 곳에서 과수원 우측으로 샛길이 보이고, 조금 더 가면 길이 거칠기는 하나 묘도가 이어져 그 길을 따랐다.
힘겹게 비탈을 지나면 임도에 닿는다. 우로 오르는 길을 따라 간다.
좌로 돌아 가는 방향에 능선이 보이며, 가까와 보이지만 한바퀴 돌아야 대암산 정상을 향하는 능선을 만나게 된다.
활공장이 있는 대암산 정상의 모습
사진의 좌측에 뾰족하게 보이는 악견산
몇 해 전 의령에서 미타산에 올라 이곳 능선을 바라보며 천황산, 태백산, 무월산, 대암산을 바라보며 답사를 원했던 산...
대암산 정상에서 미타산 방향 조망, 우측은 진행할 무월봉 방향이다.
앞에 보이는 팽나무(포구나무, 팽목, 박수, 가수라고도)..가야할 능선이 앞에 보이는데, 산화경방원이 이곳은 길이 없다고 말린다.
이 동네 사람들은 이런 길은 길이 아니라는 말인가 싶다.
그래도 말한 이의 양심을 생각해서 임도를 따라 갔다.
네이버지도의 트랙 역시 임도로 돌려져 있다.
임도로 가면서 한사코 산길이 아쉬워 돌아본다.
네이버지도에 나타나 있는 합천 전 초팔성 (陜川 傳 草八城)을 답사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사실 아쉬워할 것도 없다.
정상부분이 바로 성터 아닌가.
그런데 생초의 구형왕릉처럼 앞에 전할 전(傳)자를 붙인다는 점을 생각하면..
네이버의 사전에는
"초팔성[草八城] : 성(城) 이름.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陜川郡) 초계면(草溪面)에 있던 신라시대의 성."
으로 기록했지만...다른 견해들도 없지 않으니... 기록자의 생각이나 위치에 따라 달라진 점이다.
성의 길이는 대략 400m이고 폭은 150여m이며 성의 형태는 3면이 경사가 가파르고 남쪽은 능선을 따라 길게 돌출..
고려전기 강주(康州)를 구하러 가다 초팔성의 성주에게 패해 전사한 장수 김상(金相)[출생:미상/사망:928년(태조 11) 참고 : 고려사(高麗史)]에 관한 기록이 고려사에 나오는데, 이곳을 초팔성..
정상에 가까운 안부에 주차장이 주차선까지 그려져 있고 이쪽편에 실제로 몇 대의 차들이 있는데
나물 뜯는이들과 행락객들이 있었다.
무월봉 정상에도 한 무리의 나물채취꾼들이 있었는데, 어쩌면 원당리에서 출발할 때 우리가 가려는 길을 수정하게 만든 점이나
산화경방원이 굳이 임도로 길을 바꾸게 한 점 등은 지방민들이 산나물을 보호하기 위해 등산로를 바꾸게 한 것 아닌가 하는 의심도 든다.
능선에서 만난 금붓꽃....잘 살아 생명을 이어가기를 기원해본다.
무월봉은 아무런 표지가 없는데 이 부근이 아닐까.네이버지도의 위치다
등산지도에는 여기서 조금 더 가서...
온통 산길에 늘리 퍼진 줄딸기가 진행을 힘들게 하기도 한다.
꽃이 있어서 그런지 다른 곳보다 유난히도 벌들이 많다.
태백산까지 내내 머리 위에서 윙윙거리는 소리를 들으면서 갔다.
멀리서 들리는 비행기 소리처럼
태백산 정상은 헬기장이다. 억새가 넓게 자라고 있다. 오늘 산행지 중에 대암산 외에는 정상석이 없다.
큰고갯재
큰고갯재는 2차선도로로 국사봉로이며 북쪽으로는 합천군 초계면 지역으로 넘어 가며, 사진의 우측으로는 의령군으로 넘어간다. 앞에 미타산 등산안내도가 있다.
천황산으로 올라가는 길은 대체로 편하다. 하산길은 매우 힘들다. 큰고갯재에서 출발하여 미타산으로 간다면 좋을 것..
천황산은 조망이 좋다. 걸어온 능선을 되돌아 보면 대암, 무월, 태백이 이어져 보인다.
여기도 버려진 안내코팅지 하나. 그리고 삼각점이 있다. 해발고도 655m.
여기서 길이 미타산으로 이어지지만 우리는 차량회수를 위해 철탑능선을 따라 하산한다.
계속해서 한전의 시그널이 있지만 길은 너무 불편하다. 급경사에 가시, 넘어진 나무 등이 진로를 방해 한다.
이 길은 권하고 싶은 하산 코스는 절대 아니다. 조금만 손보면 좋은 길이 될 것 같기는 하다.
송전선로 부근의 화재발생시에 신고를 홍보하는 한전 시그널이 큰고갯재에서부터 이어진다. 천황산으로 오르는 길은 넓은 임도이기에 시그널이 꼭 필요한 곳은 아니고, 임도가 끝나는 지점부터 촘촘히 있다.
특히 천황산을 지나서 삼각점이 있는 미타산 갈림길에서 철탑이 있는 능선으로 하산하는 길에는 임도도 없이 촘촘하게 시그널이 있다.
쓰러진 나무와 가시덤불 사이로 내려가는 길은 절대로 추천할 코스가 되지 못한다.
산길이 끝나면 농로가 길게 이어진다. 도로까지 나가서 좌로 돌아 도로를 따라 가면서 활 모양으로 굽는다.
마지막 산길이다. 바로 위쪽에 묘역이 있는데 산길을 나무로 막은 것은 눈쌀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행글라이드 활공장이 가까우니 ... 보통 체공 시간이 2시간이 넘는 것 같다.
램블러의 활공 기록과 산불초소 경방원의 증언 참고..
중앙에 뾰족한 국사봉, 천황봉에서 이어지는데 오늘은 포기했다. 사진의 중심에 있는 제방이 신촌저수지,
오늘 코스가 신촌저수지를 보며서 돌았던 것 같은 느낌.
원당리
유계마을회관 앞으로 원점회귀로 끝냈다.
8시간이 넘었다.
나오는 길에 초계 농협앞에서 간단한 식사를 하고,
어두운 길을 달려 왔다.
팥빙수가 좀 이르지만, 낮의 피로를 풀고 귀가. 21:30
대암산의 북서쪽에 있는 대야성산(267.4m)은 산길이 뚜렷하지 않은지 트랙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
그 이름 때문에라도 한 번 찾아보아야할 곳..
반대 방향에서 올라간다면 왕복 5km 정도면 충분할 듯하다.
'樂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기장 달음산 20200425 토 (0) | 2020.04.25 |
---|---|
부산 기장군 호두술산-공덕산-도독고산 20200423 목 (0) | 2020.04.23 |
구례 하천산(691.2m) 밥봉(933.3m) 20200414 화 (0) | 2020.04.14 |
진주 광제산, 집현산, 명석각 2020404 토 (0) | 2020.04.04 |
산청 철마산 갈전산 거창 매봉산 덕갈산 식기봉 20200328 (0) | 2020.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