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적

마비정 벽화마을 이야기

benel_jt 2015. 7. 17. 13:08

.

 

 

 

먼 옛날 이 마을에 하루에 천리를 달리는 비무라는 숫말과 백희라는 아름다운 암말이 대나무 숲에 집을 짓고 살고 있었다. 백희라는 암말은 꽃과 약초를 먹고 살아 몸에는 늘 향기로운 냄새와 빛이 났고 비무는 온 세상을 돌아다니며 백희가 먹을 꽃과 약초를 찾아 백희에게 가져다 주며 사랑을 나누었다.

그러던 어느날 비무가 꽃과 약초를 구하러 멀리 떠나고 백희만 남아 대나무밭에 혼자 있을때 전장터로 떠나는 마고담 이라는 장수가 이곳을 지나다가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천리마가 있으면 전쟁을 이길 수 있다는 생각에 대나무밭에 백희를 비무로 착각하여 전쟁터로 나갈 것을 제안하며 천리마 비무의 실력을 보길 원했다 이 말을 들은 백희는 비무가 전쟁터에 나가 고생하고 죽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비무인 척 고개를 끄덕였다. 마고담은 “천리마는 화살보다 빨리 달린다하니 너의 실력을 봐야 되겠다”, 하고 바위에 올라 건너편을 향해 화살을 날렸다. 백희는 힘껏 달렸지만 화살을 따라 잡을 수가 없었다. 화가난 마고담은 백희를 단숨에 베어 버렸다, 그곳에는 하얀 백마가 피를 흘리며 쓰러져 죽어 있었다. 이 때 백희의 먹이를 구하러 간 비무가 돌아와 백희의 주검을 보고 슬픔에 겨워 구슬피 울었다.

그 이후로 사람들은 비무를 보지 못하였고 비무의 울음소리만 들을 수 있었고 백희의 무덤에 꽃과 약초가 끊임없이 놓여져 있는 것으로 비무가 다녀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게 세월이 흘러 온 나라에 역병이 돌아 사람들이 죽을 때 이 마을은 백희의 무덤에 놓인 약초로 역병도 돌지 않았다고 전해 내려온다.

마을에서는 비무의 흔적을 알기 위해 마을길과 나무에는 대나무 풍경을 달아 비무가 온 것을 알 수 있었고, 비무가 온 것을 알리고자 나무 나팔을 불었으며 비무를 기리고자 말솟대를 만들어 세웠다. 그리고 마고담은 잘못을 빌고자 정자를 짓고 그 곳에서 일생을 마쳤다. 그 정자가 마비정이다. 이후 이 마을을 마비정이라 불리었다.

 

 

  •  

     

    마비정 문지기

    마비정에 오신 이들을 반갑게 맞이하는 마비정 문지기 장승

     

    오누이

    담 넘어 뉘가 오시는지 까치발 들고 살포시 내려다 보는 오누이

     

    낙서판

    소원을 적으면 이루어져요

     

    누렁이와 지게

    외양간 누렁이와 옛 고향의 지게, 이곳에서 사진 한 컷

     

     

     

     

    삼지구엽초 효능

    효능은 담장에...

     

    사계절

    아! 어린시절 그때가 그립구나

     

    얼룩이와 점박이

    댓돌위 아부지 고무신에 쉬를 하는 녀석 혼꽤나 나겠지요~

     

    다람쥐와 목련

    도토리 만찬에 정신 없는 다람쥐와 사계절 내내 지지않는 목련

     

    오누이와 잠자리

    쉿! 조용히... 잠자리 달아날라

     

    오후의 낮잠

    누렁이의 등에 기대어 깜박 잠든 달콤한 오후의 낮잠

     

    동심

    상상의 나래를 펴는 동심

     

     

     

    여름풍경

    먹음직스러운 참외와 수박 그리고 물놀이

     

    가을과 겨울 풍경

    추수하고 감따고, 연날리고 얼음치고

     

    호박넝쿨

    호박 따 가지 마세요!
    메주 내음이 가득.

     

    장독대와 메주

    옛 고향의 장독대...

     

     

     

    움직이는 소(착시효과)

    소를 보면서 움직이면 소가 따라 옵니다

     

    표주박 넝쿨

    담장에서 여물어가는 조롱박 그림인가? 실물인가?

     

    가을 추수(타작)

    그 옛날 추수하는 모습과 탈탈 거리며 탈곡하던 탈곡기

     

    현재와 과거(착시효과)

    이곳에서 명상 한번 해볼까?

     

    사랑고백 포토존

    사랑 고백이 이렇게 쉬울수가~

     

    난로위 도시락

    도시락과 냄비는 진짜! 어려웠던 그 시절 교실 풍경입니다.

     

    마비정의 전설과 시 한편

    마비정의 전설과 아름다운 시 한편

     

    옛날 가옥(200년 고가)

    집은 동양화가 되고 굴뚝은 향수가 된다

     

     

     

     

     

     

     

     

     

     

     

     

     

     

     

     

     

     

     

     

     

     

     

     

     

     

     

     

     

     

     

     

     

     

     

     

     

     





  • .


    '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광산 테마 임도  (0) 2015.08.12
    마비정 벽화마을  (0) 2015.07.18
    유안청폭포 / 거창 금원산  (0) 2015.07.03
    아쉬운 운강 이강년 기념관  (0) 2015.06.15
    후조창 유지 비석군  (0) 2015.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