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山

의령 벽화산 박대산 20210424 토

benel_jt 2021. 4. 24. 18:44

의령 벽화산 박대산 20210424 토 솔로(R&L,K)

 

코스 : 척곡경로당 앞-우로 돌아 임도-동문지,샘터-벽화산성안내판-벽화산성복원구간-미나리냉이군락-351m봉-벽화산정상(522m)-헬기장-벽화산제2봉(상리산510m),산불초소-임도만남-우로돌아-박대산-하산길이 보이지 않아 임도길로 되돌아 하산길-운공마을회관 <14.3km/6:30>

 

07:00 덕천 합류
08:35 척곡경로당앞 주차/(함안휴게소 경유)

<이동 시간이 매우 느림 참고>
08:40 경로당 부근의 벽화산등산로입구→3.6km
09:09 '벽화산성고분군' 비석만 보임
09:11 Y삼거리(좌 등산로, 우 동문지)
09:12 '벽화산성동문지'비[우물터250m,벽화산성0.2, 척곡마을1.4]
09:20 벽화산등산로 종합안내도
09:22 의령벽화산성지 안내판/복원 성터 구간
09:27 복원구간 끝점
09:28 미나리냉이 등 군락지
09:36 [삼거리0.49, 척곡마을1.6]
09:40 [벽화산성0.49, 척곡마을2.9, 벽화산정상1.24, 임도1.69, 수암마을1.5]
10:17 벽화산정상(522m)[삼거리1.24, 임도0.49]
10:49 임도, 철탑<라마6512 0025>
11:05 헬기장/박대산 가는 길 탐색하다 임도로.
11:20 벽화산제2봉,산불초소, 삼각점(512.7m),(상리산) 주변산 조망
11:46 임도 만남/박대산으로 진행, 임도 우향
12:17 남재/박대산으로 길 찾다가 임도에서 오르기로 하고 되돌아 나옴
12:30 임도 모퉁이에서 조망,휴식/장군대산방향, 지수, 갈미봉, 상정...
휴식중 바로 위에서 벌소리가 윙윙거리는데 수가 많은 듯.
올라가는 길의 첫머리에 줄딸기가 많은데 벌들이 엄청나게 많은 곳 통과
13:21 박대산정상(314m)/원점하산길 거칠어 back
14:12 임도로 계속 이동하여 처음 임도 만난 지점 복귀(11:46에 내려온 곳)
3년 전의 트랙대로 하산하다가 뚝묘산방향으로 진행
15:03 운곡소류지/뚝묘산 임도는 철문으로 막혀 있음
15:08 운곡마을회관에서 산행 종료

15:40-16:10 의령읍내시장에서 간단한 후식
17:35 귀가

 

 

 

벽화산 박대산 GPX트랙 파일 첨부 :

Tr의령벽화산박대산20210424.gpx
1.57MB
벽화산 박대산__20210424_0837.gpx
0.23MB
의령_벽화산박대산2021-04-24_08-37-46.gpx
0.55MB

척곡경로당

 

척곡경로당 앞 버스정류소, 앞에 보이는 느티나무 우측으로 시멘트 포장 임도가 등산로로 이어진다.

 

골담초

 

척곡마을을 내려다보며

 

찔레꽃이 하얗게 피었다.

 

송화가 촛대처럼 꼿꼿하게 서 있는 모습들이 눈에 새롭다.

 

은난초? 은대난초

비석의 내용은 벽화산성고분군인데 주변에 보이는 게 없어..

벽화산성동문지

 

동문지에서 아래로 25m 정도 내려서면 비닐 가건물 같은 게 보이는데 ...

 

미나리아재비

 

 

벽화산 등산로 종합안내도

벽화산성 복원구간 첫부분

 

의령 벽화산성지 안내판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하리 벽화산 줄기의 최고봉과 가운데 봉우리에 쌓은 2개의 산성으로, 상벽화성과 하벽화성으로 불린다.

가야 때 쌓은 성으로 추정되며, 선조 22년(1589) 임진왜란 직전 의령읍성을 쌓으면서 전란을 대비하여 부분적으로 고쳐 쌓은 것으로 보인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홍의장군 곽재우가 고쳐 쌓은 산성으로, 의병을 거느리고 수천명의 왜적을 무찔렀던 전승지로 유명하다. 그 뒤 고종 13년(1876)에 크게 고쳐 쌓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원래 이 산성은 벽화산 아래까지 연장되어 있었던 듯하나 지금은 흔적을 찾을 수 없고, 주변 마을에서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과 유물, 삼국시대의 무덤들이 발견되었다.
==현지 안내문==
이 벽화산성은 의령읍 중리 척곡 마을의 북쪽 벽화산 8-9부 능선을 두른 테뫼식 산성으로 산성둘레는 약 800m정도이다.
산성 내부는 일제시대 이후 공동묘지가 조성되어 대부분 민묘로 채워져 있으며, 산성 남으로 7부 능선 정도에 벽화산성 고분군이 위치한다.

벽화산성 복원정비를 위한 2000년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경남문화재연구원의 시굴조사에 의하면 벽화산성은 축조시기를 달리하는 2개의 성, 즉 삼국시대성(하한은 통일신라시대)과 조선시대 성이 축조되어 있으며, 후대에 설치된 조선시대 성은 삼국시대 성이 폐기된 이후 폐성을 기단으로 하여 축조되었다. 삼국시대 성은 대부분 높이 0.5m ~ 2m 정도 남아있으며, 구간에 따라 축성기법을 달리함이 확인되었다.

후대에 설치된 조선시대 성은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급박한 상황에서 수축된 것으로 보이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망우당 곽재우 장군이 벽화산성에서 왜적 수천명을 섬멸하였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그 후 조선시대 말기인 고종 13년(1876년)에 의령현감 송기노가 대대적으로 성을 정비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미나리냉이

미나리냉이.txt
0.00MB

미나리냉이 [비추천명 : 미나리황새냉이]
▣ 학명 : Cardamine leucantha (Tausch) O.E.Schulz
▣ 분류군 : 십자화과 (Brassicaceae)
▣ 일어 : コンロンソウ
▣ 영문 : White-flower bittercress

◎ 개화 : 6월
◎ 결실 : 7월
◎ 꽃색 : 흰색

◎ 분포 : 한국(전국 각지), 중국, 일본,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부
◎ 형태 : 여러해살이풀
◎ 생육환경 : 골짜기, 개울가, 숲변두리의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 크기 : 높이 50cm정도로 자란다.
◎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우상복엽이고 길이 15cm정도로서 엽병이 길다. 소엽은 5-7개이며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4-8cm, 폭 1-3cm로서 예첨두이며 작은잎자루는 없고 가장자리에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다.
◎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지름 5-8mm의 흰색 십자모양꽃부리가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꽃받침보다 2배 또는 그 이상 길고 거꿀달걀모양이다. 6개의 수술중 2개는 짧으며 암술은 1개이고 처음에는 털이 약간 있으며 자라서 열매로 된다.
◎ 열매 : 장각과는 길이 2-3cm, 폭 1-1.5mm이며 소과경이 있어 옆으로 약간 퍼진다. 종자는 달걀모양으로 길이 2mm가량이고 암갈색이며 7-8월에 성숙한다.
◎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약간 갈라지고 전체에 짧은 흰색 털이 밀생한다.
◎ 뿌리 : 근경은 짧고 땅밑에 길이 40cm가량의 백색 기는줄기가 있다.
◎ 이용방안
▶어린 순은 식용한다.
▶뿌리와 근경을 백일해, 타박상에 쓴다.
◎ 유사종
▶통영미나리냉이 (var.toensis T.LEE) : 잎이 보다 크며 씨방에 털이 있다.

 

둥굴레도 매우 많이 보인다.

 

홀아비꽃대

 

왕고들빼기

 

이건 복원되지 않은 옛성곽의 흔적일까.

 

물푸레나무

 

애기나리

 

족도리풀

 

각시붓꽃

 

                               

벽화산 정상의 애기나리 군락

 

 

벽화산 정상 522m

 

반디지치

 

이 임도는 횡단

 

임도 바로 앞에 철탑

 

병꽃

 

헬기장, 여기서 박대산 가는 트랙이 보이는데 길이 트이지 않아 진행하다가 임도로 가기로 한다.

 

산불초소와 삼각점이 있는 제2봉, 

512.7m

산불초소 앞에서 방어산 조망, 그 뒤로 여항산

 

동쪽으로 함안 방향의 고속도로를 사이에 둔 M자형으로 보이는 좌 천제봉 우 삼봉산

두 봉우리 사이의 자양산은 거리가 멀어 보이지 않는다.

 

고들빼기 키가 상당히 높다.

 

애기봄맞이

 

민들레 홀씨

 

가시엉겅퀴도 상당수가 보였다.

 

애기봄맞이

 

뽀리뱅이

 

애기풀

 

뽀리뱅이

 

은대난초?

 

꿀벌대군이 윙윙거리는 이 장애물을 정면돌파...무사히...

 

떡쑥

떡쑥 [비추천명 : 괴쑥]
◎ 학명 : Gnaphalium affine D.Don
◎ 분류군 : 국화과 (Asteraceae)
◎ 일어 : ハハコグサ
◎ 영문 : Jersey cudweed
⊙ 크기 : 높이 15-40cm 정도로 자란다.
⊙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주걱모양 또는 거꿀피침모양이며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고 길이 2-6cm, 나비 4-12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 원줄기로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편평꽃차례에 쌀알같은 황색의 꽃이 달리며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3mm, 나비 3.5mm정도이며 비늘잎은 3줄로 달리고 누른빛이 돌며 길이 0.5mm정도로서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 열매 : 열매는 수과이고, 관모는 길이 2.5mm정도로서 황백색이고 밑부분이 완전히 합쳐지지 않는다.
⊙ 줄기 : 높이 15-40cm이고 전체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며 곧게 서고 땅 가까이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져 포기를 이룬다.
⊙ 재배특성 : 비료는 주지 않아도 잘 자라지만 깻묵 등의 고형 비료를 조금만 주면 싱싱하게 자라고 많은 꽃을 볼 수가 있다. 겨울에는 바깥에 그대로 두어도 죽지 않고 봄이 되면 어김없이 싹이 돋는다.
⊙ 이용방안 ▶포근해 보이는 잎이나 꽃으로 양지바른 화단에 심어 즐길 만하고 화분에 몇 포기 심어 사무실이나 거실에 장식해도 좋은 들풀로, 강건해서 어떤 흙이나 가리지 않고 햇볕이 잘 드는 건조한 곳이면 잘 자라 부담없이 키워서 봄의 정서를 만끽할 수 있다.
▶어린순은 식용으로 쓰인다.
▶全草를 鼠麴草(서국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 개화기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다음 협잡물을 제거해서 건조한 곳에 저장한다.
② 성분 : 전초는 flavonoid 배당체 5%, 精油(정유) 0.05%, alkaloid 및 sterol을 미량, 불감화물을 0.58% 함유하는 외에 비타민B, carotene, 엽록소, 樹脂(수지), 지방 등을 함유한다.
③ 약효 : 化痰(화담), 止咳(지해), 祛風寒(거풍한)의 효능이 있다. 咳嗽時(해수시)의 多痰(다담), 喘息(천식), 感氣風寒(감기풍한), 蠶豆病(잠두병), 筋骨疼痛(근골동통), 白帶(백대), 癰瘍(옹양)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가루를 만들거나 또는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 특징 : 떡쑥은 잎이 부옇게 털로 덮여 있고 쥐의 귀를 닮고 있으며, 꽃이 황색의 쌀알 같은 粒狀(입상)이라 누룩을 닮았다고 해서 서국초라 하는데 옛날에 이 풀로 떡을 만들어 먹어 떡쑥으로 불린다고 전한다.

 

 

운곡소류지, 바로 우측 뒤로 보이는 낮은 산이 102m의 뚝묘산

고추 모종

 

해발102m의 뚝묘산, 뭐 볼 게 있다고 가 보려고 하니 이 건물 뒤로 철문이 막혀 있다.

위에서 봤으면 되었지...

 

 

의령 시장 안의 전선에 제비가 날아 들었다.

요즘 제비 보기도 쉽지 않았는데 건물 내부까지 들어온 제비가 반갑다.

50여년 전 전방 벙커 속에 날아 들어온 제비가 콘크리트 벽에 지블 지으려고 시도하는 것을 보고 전우신문을 밥풀로 윾어 집을 만들어 주었는데 그 위에 다시 지을 줄은 몰랐다. 그래서 아마 공간이 좁았을텐데....

새끼를 낳아 기르더니 새끼들이 날기 시작하지 데리고 나갔는데 그 후에는 볼 수 없었던 일이 기억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