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각시봉 양자산 앵자봉 산행 20190604 화 한마음
코스 : 여주 산북면 하품교-영명사-각시봉-양자산-주어고개-앵자봉-암봉-철탑능선-산죽길-주어사지-임도-주어마을회관, 등산로주차장
11:22 좌측으로 양자산 등산로 입구, 두 명은 우측 낮은 능선으로 진입
11:43 영명사 앞에서 우측으로 돌아 능선 진입시도
12:04 임도 나타남, 여기까지 약 20분이 힘든 급경사
12:10 [품실자연관2.1, 양자산정상2.1]
12:16 앞서 능선으로 간 두 사람을 오르막에서 조우
12:24 [품실자연관2.7, 양자산정상1.5]
12:52 각시봉 정상, 아무른 표지 없이 지도만 확인
12:58 안부 [품실자연관3.6, 양자산정상0.6, 영명사1.4]
13:06 헬기장
13:08 민백미꽃
13:09 삿갓나물 꽃
13:10 족두리풀꽃(수 많고, 질 최상, 먼지 무, 꽃 반짝)
13:11 헬기장
13:12 [품실자연관4.0, 양자산정상0.2, 주어리주차장2.9]
13:14 [양자산0.1, 성덕2리3.6, 주어리...]
13:15 양자산 정상(709.5m). 전망데크 남향, 북쪽으로는 남한강, 양평 용문산, 청계산 등 조망.
[앵자봉4.2, 백자리 품실자연관4.2, 주어리주차장3.1]
13:38 [양자봉0.4, 앵자봉??, 동오리1.4]
14:02 [훼손 이정표]
14:06 [양자봉정상2.6(1:30), 우측은 훼손]
14:09 삼각점(354.7m)
14:09 [양자산정상2.4(1:15), 앵자봉정상2.7(1:30)]
14:10 주어재 [하품2리, 앵자산, 강하면]
14:28 [훼손 이정표]..군계능선 표시가 여럿 있다
14:41 [훼손 이정표]
14:53 철탑 통과
14:56 헬기장 [앵자봉0.78, 관산6.23, 무갑산7.88, 염치고개9.14, 해협산10.86, 정암산15.03]
15:03 헬기장[앵자봉0.63, 관산6.08, 무갑산7.73, 양자산3.65, 염치고개9.29, 해협산11.01]
15:17 앵자봉 정상(667m)
15:42 철탑, 높은 돌담으로 통과 주의
16:04 산죽지역 통과
16:08 산죽이 좌로 열리며 바로 주어사지로 나옴, 개울
16:08-16:12 아래에서부터 제5,4,3,2,1건물지
제2건물지가 중심인 듯, '천주교 강학터'라고 적어 두었다.
16:19 아래로 내려가면 임도 옆에 '주어사지 안내판'
임도우측방향으로 약간 오르는 듯한 길이 빠른 길이다.
16:31 [여주 주어사지 600m]
16:59 주어리경로당, 주차장. /산행종료
많이 기다리던 산이다.
혼자서라도 찾아볼만한 산이었는데
늦었지만 탐방 기회를 만났다.
07:20에 덕천에서 출발.
11:22 하품리에 도착
17:00에 산행 종료하고 급히 후식
18:00가 채 되기 전에 출발하여
21:25 금곡역에서 하차하여
21:55 귀가
알뜰한 시간 운영이다.
각시봉을 가려거든 차라리 백자리의 품실자연관을 들머리로 삼아야...
이정표에는 각시봉은 없고 양자산만 나타난다.
그렇지만 각시봉은 별스레 주변보다 높은 편이다.
여주 양자산 앵자봉 트랙 파일 첨부 : Tr여주각시양자앵자주어사지201906041118.gpx,
여주각시양자앵자봉2019-06-04_11-18-08.gpx
<표준 트랙이 될 수는 없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영명사에서 능선에 붙는 길은 불편하게 올랐음, 주어사지 찾기에 참고용으로 사용>
양자산
높이 : 712m
위치 :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양자산과 앵자봉은 양평과 곤지암을 잇는 329번 지방도로의 북쪽에서 부드러운 능선으로 이어지는 육산으로 토토리가 많기로 유명하며 교통이 편리하면서도 한적하고 오붓하게 등산할 수 있어서 좋다.
양자산은 각시봉 밑의 전망이 일품이고, 704.8 봉에서 남쪽으로 뻗은 능선길이 좋고 정상은 진달래가 많다.
표고 354.7m
앵자봉 [鶯子峰]
높이 : 670.2m
위치 :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앵자봉의 앵(鶯)은 꽤꼬리 앵자, 꾀꼬리가 알을 품고 있는 산세라 하여 꾀꼬리봉으로 불리다가 한자로 표기할 때 앵자봉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옛날에는 각시봉으로 불리기도 했다고 한다. 이웃한 양자산을 신랑산으로 보고 두 산을 부부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부가 함께 오르면 부부금실이 좋아진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앵자봉은 능선에서 양자산과 관산으로 연결된다.
앵자봉은 천진암성지로 천주교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산이다. 앵자봉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가 전파되기 시작되었고, 지금은 앵자봉 일원이 천주교 성역 순례길로 지정되어 있다.
앵자봉은 높은 산은 아니지만 초기에 천주교 교인들이 숨어 살았을 만큼 산속으로 들어가면 갈수록 심산유곡에 들어선듯 느낌을 받는 산이다.
앵자봉은 수도권에서 당일코스로 인기 있다. 돌이 없는 육산에 한적하고 조용하다. 소나무가 거의 없고 주로 참나무와 활엽수로 된 앵자봉은 늦가을 낙엽산행으로도 좋다.
아래에서 위로 제5건물지~4.3,2,1건물지
주어사지
주어사는 산북면 하품2리 앵자봉 서쪽 기슭에 있었던 사찰로서, 창건 및 폐사 연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19세기 중엽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한 승려가 절터를 찾던 중 잉어를 따라 가던 꿈을 꾸고 얻은 터라는 이야기가 전해져오고 있다.
1779년 조선 정조 3년 학자 권철신의 주도 아래 정약전, 권상학, 이총억 등이 참석해 한역 서학서(西學書)의 강학(講學)이 이뤄진 곳이다 <위키백과>
========
여주 하품리 사지[驪州下品里寺址]
경기도 여주시 산북면 주어리 앵자봉에 있는 절터.
주어사(走魚寺)가 있던 자리로 면적은 약 1650㎡이다. 여주시 산북면과 광주시 퇴촌면의 경계를 이루는 앵자봉에 있다. 사찰 건물은 계곡부에 접해 석재로 축대를 쌓아 지었던 것으로 보이며, 잡목과 수풀 속에 축대 일부와 건물지 기단석축 등의 흔적이 확인되었다. 기단석축은 높이 3단 80cm, 길이 100cm이며, 아래 축대는 길이 3m, 높이 150~200cm이다. 주변에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으며 절터에 있던 해운당대사(海雲堂大師) 부도는 높이 93cm, 너비 41cm로 몸체에 새겨진 명문(銘文)으로 미루어 1699년(숙종 24)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주시향토사료관으로 옮겨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여주 하품리 사지 [驪州下品里寺址] (두산백과)
2호 건물지에는 특이한 점이 많다.
크가가 다른 건물지보다 크다.
천주교 강학터로 전한다.
1970년대 축조한 숯가마터가 있다.
수량은 적어도 물은 맑은 편이다. 마을에 노래된 느티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그 역사를 보고 들었을까.
등산지도에는 '여주주어사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네이버지도와 다음지도에는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가끔 지도의 오류가 있어서 조심스러웠지만, 산길샘으로 트랙을 대충 그어 찾았다.
앵자봉 정상에서 좌회전하여 주어리 하산길 능선으로 가다가 649m봉을 지나고, 627m암봉을 만나면 암봉 직전에 좌로 희미한 길이 비스듬히 있지만 별다른 흔적은 없다. 애래에 철탑이 있는 능선이 길잡이가 될 수 있다.
앵자봉 정상에서 약 600m 정도의 거리에서 좌로 내려선다.
100m 정도 내려서면 철탑, 마지막 돌담은 조금 높다. 우측으로 길이 된다.
철탑에서 약 500m 정도 내려서야 산죽을 벗어나면서 주어사지가 나타난다.
사람들이 다닌 흔적이 없지 않으니 어렵지는 않지만 낙엽길을 만나면 조심, 좌로 떨어지면 경사가 급한 곳을 만날 수 있으나 능선을 타고 가다가 일단 철탑은 지나고, 보면 멀지 않다. 곧 산죽밭을 만나는데 산죽밭은 길이 거의 선명할 정도다.
길만 따르면 산죽길이 주어사지로 내려선다.
마지막 부분의 산죽길이 알아서 좌로 내려서게 이어진다.
내려서면 앞이 개울이 있지만 물은 보이지 않는다.
안내판이 먼저 보이는 게 제5건물지다.
위로 올라가면서 제1건물지 까지 있는데 제2건물지가 조금 크다. 그리고 그 곳에 '천주교강학터'라고 약간 조잡하지만 안내되어 있다.
사지의 안내를 보면서 오르내린 거리는 200여m 정도다. 하산시간이 늦어 10분 이내로 컨닝하듯 보고 내려왔다.
이제 다듬어진 좋은 길로 200m 나가면 전방에 가로 놓인 임도와 사방공사한 제방을 우로 보게 되고 좌측 공터에 안내판이 잘 세워져 있다.
여기서 이미 5시간이 넘었다. 하산 종료 시간이다.
주차장까지 갔는데 잠시 세수하고 간 시간을 포함하여 40분이 늦어졌다.
물론 모두 정시에 도착한 것은 아니지만...
독촉이 좀 편치는 않다.
'樂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산 이만봉 산행 20190610 월 (0) | 2019.06.10 |
---|---|
괴산 칠보산 각연사 코스 20190608 토 (0) | 2019.06.09 |
지리산 중산리~장터목_백무동 20190601 토 (0) | 2019.06.03 |
고성 좌이산 산행 및 고성 소을비포성지 답사 20190530 목 (0) | 2019.05.30 |
김천 애기봉 문암봉 난함산 내남산 산행 20190529 수 (0) | 2019.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