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적

성구사

benel_jt 2017. 1. 21. 21:32


성구사(誠久祠)


고려말 충신 변빈(卞贇)선생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변연수(卞延壽)장군과 그의 아들 변입(卞岦)의 충절을 기리는 사당이다.
변빈 선생은 고려 공민왕조(1351-1374) 문하평리(정2품)로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성만용, 정몽주, 홍재, 이색, 조열, 김성목, 이오 등 많은 충신들과 함께 망국의 한으로 슬퍼하다가 기약없이 스스로의 뜻에 따라 행동키로 결의하고 선생은 두문동(개성시 서쪽 15리)에 들어가 고려에 대한 불사이군의 절의를 다하고 죽으니 두문동 72현의 한 분이시다.
변연수 장군은 조선 중종 33년(1583년) 이 곳에서 태어나 무관에 급제하고 훈련원 주부의 벼슬에 올랐으나 휴관으로 향리에서 쉬고 있을 때 임진왜란(1592년)을 맞게 되자 아들 변입에게 나라에 목숨을 바칠 때라 이르고 즉각 격문을 내어 원근에서 의병을 모아 인근 장병골에서 훈련, 연해의 출몰 왜적을 격퇴하고 이순신 장군 휘하에 합류하여 당포와 옥포에서 적을 크게 무찔러 혁혁한 전공을 세웠으며 정유재란(1597년) 때 당포해전에서 아들 변입과 함께 사력을 다해 적과 싸우며 용전하다 순국하셨다.
아들 변입은 전사한 아버지의 시신을  안고 통곡하며 父命에 따라 마지막까지 분전하다 그도 또한 아버지의 뒤를 따라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나라에서는 변정수 장군에게 증 병조판서 아들 변입에게 증 죄승지의 첩지를 내리고 고향에 정려(삼강려)를 내려 후세 귀감으로 삼게 하였다.
세상에서는 이 세 분을 일러 변씨삼현 또는 삼충이라 일컫는다.
성구사는 후손들과 전국유림에 의하여 1914년 인근 서제골에서 이곳에 이축하여 세워졌으며 매년 제향을 올린다.
그리고 경내에는 도산서원과 일신제 존양제 등 부속건물이 있다.








.

'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도봉서당(慶州 桃峯書堂)  (0) 2017.01.30
왕재(王峴)  (0) 2017.01.22
Psalm 23: (KJ)  (0) 2017.01.15
태조대왕태실지  (0) 2017.01.10
2017은 정유년이다  (0) 2017.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