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도 생명

실거리나무[띄거리나무] [띠거리나무]

benel_jt 2016. 5. 25. 08:56

실거리나무[띄거리나무] [띠거리나무]
•Caesalpinia decapetala (Roth) Alston
•Leguminosae(콩과) 
ジャケツイバラ
Mysore thorn
개화기 : 6월, 결실 : 9월
꽃색 : 노랑
분포 : 중국, 일본, 인도; 전라남도 및 제주도.
형태 : 낙엽 활엽 덩굴성 관목.
크기 : 길이 6 ~ 7m.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2회 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5 ~ 10쌍으로 긴 타원형이며 원두, 원저이고 길이 1~2cm로 많은 잔점이 있으며 예리하고 꼬부라진 가시가 산생하며 잎겨드랑이에 덧눈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좌우 대칭으로 달리고 노란색이며, 가지 끝에 달리는 총상꽃차례로 길이 20 ~ 30cm이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로, 뒤쪽 꽃잎에 붉은색 줄이 있으며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아랫부
분에 털이 있다.
열매 : 협과는 길이와 폭이 각 9cm× 2.7cm로 긴 타원형이고 딱딱하며 잘 벌어지지 않으며, 종자는 흑갈색으로 거꿀달걀모양이며 6 ~ 8개씩 들어있고,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꼬부라진 예리한 가시가 산생한다.
뿌리 : 잔뿌리가 길게 뻗는다.
번식방법 : 실생번식하며, 노천매장 후 파종한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좌우 대칭으로 달리고 노란색이며, 가지 끝에 달리는 총상꽃차례로 길이 20 ~ 30cm이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로, 뒤쪽 꽃잎에 붉은색 줄이 있으며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아랫부
분에 털이 있다.
뿌리 : 잔뿌리가 길게 뻗는다.
특징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

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실거리나무라는 이름은 줄기와 가지와 잎에 산생하는 예리한 가시에 한 번 걸리면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나무이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Caesalpinia sepiaria var. japonica Nak.)
생육환경 : 건조한 곳을 좋아하며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적습지에서 잘 자라며 환경내성은 약하다. 양수이며 서리가 내리지 않는 지역에서 월동하고, 10~25℃에서 잘 자란다.
번식방법 : 실생번식하며, 노천매장 후 파종한다.
재배특성 : 이식이 용이하다.

이용방안
▶꽃이 아름다워 남부지방의 공원이나 학교조경 등의 조경용수로 식재하면 좋고 과수원 등의 생울타리용으로 사용한다.
▶열매를 염주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유독식물이다.
▶근(根) 및 경피(莖皮)는 倒桂牛(도계우), 종자는 雲實(운실)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倒桂牛(도계우)
①여름에서 가을에 채취한다.
②약효 : 근(根)-解表(해표), 發汗(발한)의 효능이 있다. 傷風感冒(상풍감모)에 의한 두통, 筋骨疼痛(근골동통)과 타박상을 치료한다. 경피(莖皮)-외용으로 (주사비-赤鼻(적비))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뿌리 9-15g을 달여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⑵雲實(운실)
①가을철 과실이 성숙한 때에 채취한다.
②약효 : 解熱(해열), 除濕(제습), 살충의 효능이 있다. 학질, 小兒疳積(소아감적), 이질, 설사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0-2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로 쓴다.
특징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
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실거리나무라는 이름은 줄기와 가지와 잎에 산생하는 예리한 가시에 한 번 걸리면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나무이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Caesalpinia sepiaria var. japonica Nak.)
이용방안
▶꽃이 아름다워 남부지방의 공원이나 학교조경 등의 조경용수로 식재하면 좋고 과수원 등의 생울타리용으로 사용한다.
▶열매를 염주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유독식물이다.
▶근(根) 및 경피(莖皮)는 倒桂牛(도계우), 종자는 雲實(운실)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倒桂牛(도계우)
①여름에서 가을에 채취한다.
②약효 : 근(根)-解表(해표), 發汗(발한)의 효능이 있다. 傷風感冒(상풍감모)에 의한 두통, 筋骨疼痛(근골동통)과 타박상을 치료한다. 경피(莖皮)-외용으로 (주사비-赤鼻(적비))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뿌리 9-15g을 달여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⑵雲實(운실)
①가을철 과실이 성숙한 때에 채취한다.
②약효 : 解熱(해열), 除濕(제습), 살충의 효능이 있다. 학질, 小兒疳積(소아감적), 이질, 설사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0-2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로 쓴다.
줄기
꼬부라진 예리한 가시가 산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2회 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5 ~ 10쌍으로 긴 타원형이며 원두, 원저이고 길이 1~2cm로 많은 잔점이 있으며 예리하고 꼬부라진 가시가 산생하며 잎겨드랑이에 덧눈이 있다.

분포
중국, 일본, 인도; 전라남도 및 제주도.

생육환경
건조한 곳을 좋아하며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적습지에서 잘 자라며 환경내성은 약하다. 양수이며 서리가 내리지 않는 지역에서 월동하고, 10~25℃에서 잘 자란다.

재배특성
이식이 용이하다.
크기
길이 6 ~ 7m.

열매
협과는 길이와 폭이 각 9cm× 2.7cm로 긴 타원형이고 딱딱하며 잘 벌어지지 않으며, 종자는 흑갈색으로 거꿀달걀모양이며 6 ~ 8개씩 들어있고, 9월에 성숙한다.
형태
낙엽 활엽 덩굴성 관목.

 

 

 

 

 

 

 

 

 

 

 

 

'잡초도 생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미도 천황산에서  (0) 2016.05.25
긴사상자 [개사상자] [진득미나리]  (0) 2016.05.25
장딸기  (0) 2016.05.24
두미도의 야생화  (0) 2016.05.24
치악산 세렴폭포 아래의 수목  (0) 2016.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