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딸기
•[땃딸기] [땅딸기] [노랑장딸기]
•Rubus hirsutus Thunb
•Rosaceae(장미과)
•クサイチゴ
•Hirsute raspberry
개화기 :
꽃색 :
분포 : 중국, 일본; 전라남도 및 제주도
형태 : 낙엽 활엽 반관목
크기 : 높이 20 ~ 60cm
잎 : 어긋나기, 깃모양겹잎; 소엽 3 ~ 5개, 달걀상 피침형, 예첨두, 둔저, 3 ~ 6cm× 1.5 ~ 3cm, 양면에 털, 가장자리 결각상 톱니; 잎자루 길며, 침상의 턱잎
꽃 : 지름 3 ~ 4cm, 백색, 양성꽃, 5 ~ 6월에 1개씩 개화; 꽃받침조각 긴 피침형,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 양면에 짧은 털 밀생; 꽃잎 5개, 수평, 거꿀달걀상 타원형,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음
열매 : 둥글고, 붉은색, 7 ~ 8월에 성숙
줄기 : 곧추서거나 길게 옆으로 비스듬히 서고, 군데군데 가시
뿌리 : 뿌리가 길게 옆으로 뻗으며 군데군데에서 새싹이 나온다
생육환경 : 햇빛이 잘 들고 적당한 보습성을 갖는 토양에서 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새싹이 나와 군집을 형성한다. 건조한 곳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며 비옥적윤한 곳을 좋아한다. 내한성은 약하나 중부 지방에서도 적절한 방풍, 방한 관리에 의해 월동이 가능하다
번식방법 : 포기나누기가 잘되며 여름철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노천매장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이용방안
▶줄기가 왕성하게 옆으로 퍼져 나가므로 지피용 소재로 매우 유망하다. 절사 면, 황폐지 녹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열매는 생식 및 쨈 등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根(근) 및 葉(엽)이 자파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과 여름에 채취하여 신선한 것을 사용하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꽃잎에는 astragalin, trifol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暑氣(서기)로 인한 吐瀉(토사), 風火頭痛(풍화두통), 감기, 황달을 치료한다.
보호방안 : 자생지 보호 및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인공으로 증식하여 경제 수종으로 이용한다.
유사종
▶제주 장딸기(var. argyi Nakai): 줄기와 잎에 털이 없다.
▶노랑 장딸기(var. xanthocarpa Nakai): 열매가 황색으로 익으며, 완도에서 자 란다. 봄에 근삽을 한다.
이용방안
▶줄기가 왕성하게 옆으로 퍼져 나가므로 지피용 소재로 매우 유망하다. 절사 면, 황폐지 녹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열매는 생식 및 쨈 등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根(근) 및 葉(엽)이 자파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과 여름에 채취하여 신선한 것을 사용하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꽃잎에는 astragalin, trifol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暑氣(서기)로 인한 吐瀉(토사), 風火頭痛(풍화두통), 감기, 황달을 치료한다.
꽃 : 지름 3 ~ 4cm, 백색, 양성꽃, 5 ~ 6월에 1개씩 개화; 꽃받침조각 긴 피침형,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 양면에 짧은 털 밀생; 꽃잎 5개, 수평, 거꿀달걀상 타원형,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음.
뿌리 : 뿌리가 길게 옆으로 뻗으며 군데군데에서 새싹이 나온다.
줄기 : 곧추서거나 길게 옆으로 비스듬히 서고, 군데군데 가시.
잎 : 어긋나기, 깃모양겹잎; 소엽 3 ~ 5개, 달걀상 피침형, 예첨두, 둔저, 3 ~ 6cm× 1.5 ~ 3cm, 양면에 털, 가장자리 결각상 톱니; 잎자루 길며, 침상의 턱잎.
형태 : 낙엽 활엽 반관목
분포 : 중국, 일본; 전라남도 및 제주도
생육환경 : 햇빛이 잘 들고 적당한 보습성을 갖는 토양에서 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새싹이 나와 군집을 형성한다. 건조한 곳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며 비옥적윤한 곳을 좋아한다. 내한성은 약하나 중부 지방에서도 적절한 방풍, 방한 관리에 의해 월동이 가능하다.
크기 : 높이 20 ~ 60cm.
번식방법 : 포기나누기가 잘되며 여름철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노천매장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열매 : 둥글고, 붉은색, 7 ~ 8월에 성숙.
보호방안 : 자생지 보호 및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인공으로 증식하여 경제 수종으로 이용한다.
유사종
▶제주 장딸기(var. argyi Nakai): 줄기와 잎에 털이 없다.
▶노랑 장딸기(var. xanthocarpa Nakai): 열매가 황색으로 익으며, 완도에서 자란다. 봄에 근삽을 한다.
20160520 두미도에서, 아직 어린 상태인 듯하며, 한 곳에서만 보았다.
20180419 여수 개도 봉황산에서, 온 산에 골고루 하얀 꽃을 피웠다.
.
'잡초도 생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사상자 [개사상자] [진득미나리] (0) | 2016.05.25 |
---|---|
실거리나무[띄거리나무] [띠거리나무] (0) | 2016.05.25 |
두미도의 야생화 (0) | 2016.05.24 |
치악산 세렴폭포 아래의 수목 (0) | 2016.05.18 |
치악산의 큰앵초 (0) | 2016.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