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山

진천 두타산(두대산) 20140517 토 [산하]

benel_jt 2014. 5. 18. 10:21

진천 두타산 (두대산)
20140517 토


07:33 덕천 탑승
11:20 동잠교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11:42 정자 두타정[동잠교 1.35, 전망대 2.65, 두타산정상 3.15]
12:01 [동잠교 2.1, 전망대 1.7, 두타산정상 2.2]
12:07 [동잠교 2.75, 전망대 1.25, 두타산정상 1.75]
12:19 [동잠교 3.55, 전망대 0.45, 두타산정상 0.95]
12:30-13:01 전망대, 중식[동잠교 4.0, 영수사 2.0, 두타산정상 0.5]영수사갈림길
13:04 [두타산정상 0.3. 군부대 4.3, 붕어마을 11.2]
13:09 [두타산정상 0.1, 동잠교 4.4, 전망대 0.41, 영수사 2.4, 원남저수지 5.1, 원융사 4.7...]
13:12 두타산정상
13:27 [두타산정상에서 0.77, 두타산삼거리 0.53. 돌탑...] 봉우리옆길로
13:36 [두타산정상 2.0, 붕어마을 9.0, 중평미암리 1.2]
13:52 [두타산정상 2.1, 송신탑삼거리 0.84, 삽사리 1.49]
14:05 송신탑 [통신대삼고리 0.83, 삽사리삼거리 0.84, 삽사리 1/6]
14:07 임도삼거리
14:15 모노레일 만남, 모노레일 건너 산쪽으로 오름
14:20 [보타사삼거리 1.56, 송신탑삼거리 0.63]
14:50 [통신대삼거리 1.0, 보타사삼거리 0.56, 공병대대 1.33]
15:10 [두타산정상 5.24, 보타사 1.4, ....]
15:18 중심봉
15:50 삼형제바위봉
16:28 초평붕어마을에서 산행종료




옛날 엄청난 홍수가 나 산 정상부만 빼꼼히 섬처럼 남아 있었다고 해서 비탈질 타(陀) 자를 써서 두타산(頭陀山)이라 불렀다.
진천이나 증평주민들 어느 누구도 두대산이란 이름을 아는 사람이 없이 두타산이라고만 하였고,지형도에도 두타산이라고 표기했다.
그런 두타산이 두대산으로 불려진 건 최근의 일.
61년 당시 담당 공무원들이 두대산 두태산으로 잘못 적었을 거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국토지리정보원은 그동안 정확한 확인없이 ‘두타산’으로 표기하다가 최근에 ‘두대산’으로 바로잡은 것이다.
참 어처구니없는 지명의 운명으로 일단 ‘두대산’으로 지명통일을 한다.
두대산은 진천군과 증평군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보타사 북쪽 산릉을 넘는 배넘이고개는 홍수 때 배가 넘나들던 곳이라 전해진다.
정상부 석성(石城)의 흔적은 두타산성으로 삼국시대에 축조되었으며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유물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산정에 오르면 예로부터 수해와 한해가 없었다는 진천군 곡창인 들판과 한남금북정맥으로 에워싸여 거대한 분지를 이루는 증평 들판이 시원하게 조망된다.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이란 말은 ‘살아서는 진천,죽어서는 용인'이 좋다는 이야기로 널리 회자된다.
산 서쪽 초평저수지가 있는 붕어마을엔 붕어찜이 유명하고,삼형제바위에서 내려다 보는 한반도 닮은 조망은 너무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