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배내고개 - 격산 - 입석봉 - 석남고개 - 신불산 공비토벌작전기념비 - 석남사 입구까지 20220809 화
울산 배내고개 - 석남고개 - 석남사 입구까지 20220809 화 (R)
코스 : 울산 배내고개 - (능동산 갈림) - 격산(813) - 입석봉(814) - 석남고개 - 이정표 - 신불산 공비 토벌 작전 기념비 - 석남사주차장 <6.7km/3:30>
GPX 트랙 파일 첨부 :
이 코스 선정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요즘 날씨가 너무 덥다.
비도 잦았다.
화요일에는 다행히도 비가 멈춘다.
약간의 남동풍 바람이 있는 흐린 날씨다.
울산역에서 328번을 타고 올랐던 배내고개 출발의 시간이 9:30 정도면 적당하다.
그것도 집에서 7:00 정도에 출발하니 적당하다.
엊저녁에 약간의 헤프닝이 있었다.
기차시간표를 잘못 본 것인지, 일시적인 오류였는지 기차 도착 시간이 08:31으로 보아 08:30 출발하는 328번의 연결이 불가능한 것으로 본 것이다.
다시 보고서야 정상임을 알고 늦게 기차를 예약하였다.
이 코스의 주맥이 낙동정맥의 미답 구간에 해당한다.
하산길도 물론 초행이다.
석남사주차장으로 내려가는 길은 소방안전 표지가 있는 것으로 보아 정상적인 길임에 틀림 없다.
게다가 네이버나 다음의 지도 역시 트랙이 기록되어 있다.
나도 일단 그 코스로 트랙을 그렸다.
혹시나 등산객이 많이 다니지 않아 길이 묵어 잡목으로 막히지는 않을까 염려하기도 했지만 전혀 그렇지 않음을 보았다.
좁은 국토에 폭우로 피해를 입는 지역이 있어 염려스럽다.
제발 자기들의 이익을 위해 다투지 말고 국토와 국민을 위한 일하는 나라가 되었으면 하고 기도해 본다.
다행히 이곳은 폭우 피해는 없었고 흐림에 시원한 바람이 능선을 편히 걷게 했다.
하산길은 고도를 낮추면서 더위가 엄습해 온다.
늦어도 14:00까지 하산할 수 있다고 보고 14:12에 출발하는 버스를 타리라 생각했는데 예상보다 훨씬 이른 시간에 도착했다.
하산 지점 끝 부분에 '신불산 공비 토벌 작전 기념비'가 세워져 있고, 참전자 명단이 지역별로 새겨져 있었다.
관리 상태가 동학기념비들보다 허하게 느껴진다.
그럴 이유는 충분히 짐작이 가는 세상이다.
이 비에 새겨진 얼굴도 모르는 이름들을 새겨보고 싶었던 게 코스 선택 이유 중의 하나다.
전체 거리/시간 : 7.45㎞/3:35,
시작 시각 : 09:22
종료 시각 : 12:57
도상 거리 : 7.45㎞
총 거리 : 7.82㎞
오름 : 644m
내림 : -1033m
하산 지점이 석남사 입구 정류소라 교통도 편한데 바로 옆이 석남사 계곡이라 탁족을 할 수 있을 정도다.
맑은 물이 흐르고 피서객들도 제법 보인다.
거의 30분 간격으로 석남사 정류소에서 태화강까지 가는 직행버스가 있다.
도착하자마자 출발하는 차(12:58)는 보냈다.
땀 때문에 바로 타고 간다면 민폐가 아닌가.
다음 차(13:36)를 탔다.
14:12보다 약 30분을 앞당긴 셈이다.
참고로 1713번의 운행 시간 중에 하산 시간과 연계되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20/12:58, 21/13:36, 22/14:12
양방향의 교통편 이용이 매우 유리하다는 점도 선택 이유 중의 하나다.
너무 무더운 여름철이라 거리도 적당하다.
![]() |
![]() |
배내고개 09:20 / 08:30 울산역 출발 328번 50분 소요(석남사 정류소 휴게소에서 10분간 휴식, 이전에는 없었는데..)
영남알프스
![]() |
![]() |
계단을 오르는 동안 2곳의 데크 쉼터가 있다.
![]() |
![]() |
![]() |
계단에 작은 의자가 있는 곳도 있고.
능동산 200m 갈림길. 능동산은 패스하고 석남고개 방향으로.
![]() |
![]() |
![]() |
![]() |
![]() |
![]() |
![]() |
![]() |
![]() |
![]() |
![]() |
격산(813m/등산지도 참고)
입석봉(814m/등산지도 참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망 바위에서 바라본 입석대 / 줌 사용
석남사주차장 1.7km,
네이버나 아음 지도에서는 1.9km/50'으로 표기 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석남사 주차장의 삼각점 / 고도 279m
신불산 공비 토벌 작전 기념비
![]() |
![]() |
기념비와 위령비
위령비에 남긴 28위의 전사자
28 전사자 명단
<상북면>
박종식, 강두수, 김일경, 노진태, 김정경, 최성락, 김사모, 김정문, 진대규
朴鍾植, 姜斗秀, 金一經, 盧鎭泰, 金正慶, 崔成洛, 金思謨, 金正文, 陳大圭
<두동면>
박연서, 백남극, 유병도, 조원제, 여문해
朴連瑞, 白南極, 兪炳道, 趙元濟, 呂文海
<두서면>
박갑득, 전기하, 전석구, 최인도, 김덕만, 김기봉, 손익근, 배상근
朴甲得, 全基河, 全錫九, 崔仁道, 金德萬, 金基鳳, 孫翼根, 裵相根
<상북면 국민회>
서태출, 정기조, 정갑생, 이태곤, 김봉조, 이이천
徐太出, 鄭起朝, 鄭甲生, 李太坤, 金鳳祚, 李利川
![]() |
![]() |
신불산 공비 토벌 작전 기념비
신불산 공비 토벌 작전 기념비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관리번호 41-2-5, 관리자:신불산 참전 유공자회)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산232-16(석남사주차장)
이 기념비는 1950년대 신불산 일대에 준동했던 빨치산 부대를 소탕한 '신불산 공비 토벌 작전'에 참전했던 신불산 참전 전우회 회원들이 자신들이 나고 자란 조국과 지역을 수호하다 산화한 전우들의 영혼을 추모하고 피해지역 주민들의 고귀한 향토수호 의지와 희생정신을 기리고 더 나아가 조국수호의 참 의미를 후손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2001년 6월 27일에 건립되었다.
울산지역은 한국전쟁의 직접적인 격전지는 모면했지만, 빨치산들이 소위 영남 알프스라 불리는 고산 준봉들을 근거지로 하여 갖은 만행을 일삼았던 곳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북괴군 중장 칭호를 수여 받은 '남도부 부대'는 그 병력이 240여 명으로 속칭 동부지구 제 4지구당으로 불리며 신불산 일대를 거점으로 하여 전쟁기간 중 지역 좌익단체와 인민군 낙오병, 남파된 유격대 등과 합세하여 신불산 일대 (995고지와 681고지)에 지휘소를 설치하고 온양의 대운산, 두서의 아미산, 두동의 치술령 등에 근거지를 구축, 수 차례 관공서, 경찰서 등을 습격하여 학살과 방화를 자행하였으며 재산의 약탈은 물론 경찰 146명, 지역 주민 200여 명을 살상하거나 피해를 입혔다.
이에 1949년 말부터 휴전 직후인 1953년 10월까지 4년 간에 걸쳐 군경 및 의용경찰이 상호 교대하며 토벌 작전을 전개하였는데 이 작전 중 가장 치열했던 전투 중의 하나가 1952년 2월 4일부터 3월 6일까지 있었던 '신불산 공비 토벌 작전'이었으며, 당시 수도사단 기갑연대(1개 중대)와 울산경찰서가 미 공군의 화력지원을 받아 995고지와 681고지를 점령함으로써 울산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되찾을 수 있었다.
![]() |
![]() |
석남사 입구 정류소에는 밀양에서 오는 버스도 있다.
석남사 계곡
.
<1713번 좌석버스 시간 참고>
기점방향 평일 배차시간표
기점방향 (태화강역 → 석남사)
01 - 06:15, 02 - 06:37, 03 - 06:59, 04 - 07:21, 05 - 07:43, 06 - 08:05
07 - 08:30, 08 - 08:55, 09 - 09:20, 10 - 09:45, 11 - 10:10, 12 - 10:40
13 - 11:10, 14 - 11:40, 15 - 12:10, 16 - 12:40, 17 - 13:10, 18 - 13:40
19 - 14:10, 20 - 14:38, 21 - 15:15, 22 - 15:51, 23 - 16:27, 24 - 17:03
25 - 17:39, 26 - 18:15, 27 - 18:51, 28 - 19:27, 29 - 20:01, 30 - 20:35
31 - 21:09, 32 - 21:43, 33 - 22:17, 34 - 22:51, 35 - 23:25
종점방향 평일 배차시간표
종점방향 (석남사 → 태화강역(종점))
01 - 05:00, 02 - 05:22, 03 - 05:44, 04 - 06:06, 05 - 06:28, 06 - 06:50
07 - 07:12, 08 - 07:34, 09 - 07:56, 10 - 08:18, 11 - 08:40, 12 - 09:05
13 - 09:30, 14 - 10:00, 15 - 10:30, 16 - 11:00, 17 - 11:30, 18 - 12:00
19 - 12:30, 20 - 12:58, 21 - 13:36, 22 - 14:12, 23 - 14:48, 24 - 15:24
25 - 16:00, 26 - 16:36, 27 - 17:12, 28 - 17:48, 29 - 18:24, 30 - 19:00
31 - 19:36, 32 - 20:12, 33 - 20:48, 34 - 21:24, 35 - 22:00
평일에는 35회 운행, 토,일. 공휴일에는 30회 운행함
1714번 외에도 328번과 807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