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석교산, 푯대봉(화주봉), 감투봉 대간길을 걷다 20220510 화
영동 석교산, 푯대봉(화주봉), 감투봉 대간길을 걷다 20220510 화 (A)
산 이름에 대하여 잠간
안내한 지도에 '영동 석교산(화중봉,1207m)'로 표시되어 있다.
삼도봉과 우두령 사이에 위치한 석교산은 화주봉, 화주암봉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삼도봉(1176m)보다 높다.
여지도서에는 '황악산은추풍령과 괘방령에서 와 서쪽으로 석교봉과 삼도봉을 일구었다'하여 석교산으로 부른다.
등산지도에는 푯대봉을 화주봉으로 기록하고 있다.
실제 산을 오르면서 체험한 바에 의해 아래의 코스 기록에도 등산지도의 명칭을 따랐는데, 석교산 정상은 펑퍼짐하게 보이지만 그곳의 조망판에는 화주봉이라 기록해 두었다.
이름값을 제대로 하는 곳은 푯대봉이 화주봉이어야 맞을 것 같다.
그렇지만 봉우리 하나만을 지칭하는 게 아니라면 이 산 전체를 화주봉이라고 부른다고 해도 어떠랴.
코스 : 우두령(720m) - 석교산(1207) - 푯대봉(화주봉),(1172) - 밀목재(1020) - 감투봉(1124) - 삼마골재 - 물한계곡 - 특전호국영령추모탑 - 물한계곡주차장 <16km/6:20>
구간별 이동 상황
시각/구간경과시간/전체경과시간/장소
10:35 0:00 0:00 김천-영동 우두령
10:40 0:05 0:05 우두령 출발
10:52 0:12 0:17 삼각점
11:35 0:43 1:00 물푸레나무군락지
12:04 0:29 1:29 석교산 정상(1207),백두대간하주봉 조망안내판
12:25 0:21 1:50 소리생태숲2.1km 갈림길(휴식10분)
12:52 0:27 2:17 푯대봉 험로 아래
12:59 0:07 2:24 험로 상부
13:05 0:06 2:30 푯대봉(1172m)
13:46 0:41 3:11 물소리샘 50m
13:48 0:02 3:13 폐광지역 안내판/삼거리이정표
14:23 0:35 3:48 밀목재(밀목령)
14:55 0:32 4:20 감투봉(1123.6m)
15:17 0:22 4:42 헬기장
15:18 0:01 4:43 삼마골재
15:30 0:12 4:55 무덤골 안내판
15:42 0:12 5:07 [물한계곡주차장3.3km, 삼도봉1.9km]
15:45 0:03 5:10 의용골폭포 표지판, 아래 폭포 조망
15:45 0:00 5:10 음주암폭포 안내판
15:49 0:04 5:14 [물한계곡주차장3.0km, 삼도봉2.2km]
15:49 0:00 5:14 음주암폭포 화살표
15:55 0:06 5:20 [물한계곡2.3km, 삼도봉3.0, 석기봉 4.5]
16:06 0:11 5:31 계곡 건너기 전 탁족
16:20 0:14 5:45 계곡건넘
16:21 0:01 5:46 철망구간
16:23 0:02 5:48 목교
16:25 0:02 5:50 잣나무숲[민주지산2.8, 삼도봉3.55, 석기봉5.0]
16:28 0:03 5:53 [물한계곡주차장1.6, 주차장3.0]
16:37 0:09 6:02 [주차장0.7]
16:41 0:04 6:06 임도차단기, 철망끝, 황룡사우회
16:45 0:04 6:10 민주지산등산안내도, 물한계곡 입석(횡)
16:49 0:04 6:14 주차장 입구,민주지산등산안내도,물한계곡 입석(종)/앱일부종료
16:53 0:04 6:18 특전호국영령추모탑/앱종료
교통편 : 산방버스/우두령 갈 때 칠서, 남성주, 남김천IC출구,/귀가시 영동 북진 황간IC진입 추풍령, 청도 경유
![]() |
![]() |
석교산 GPX 트랙 파일 첨부 :
![]() |
![]() |
![]() |
![]() |
![]() |
![]() |
우두령
우두령에서
우두령(720m)은 우두재라고 하고, 산의 능선부의 모양이 소의 머리를 닮았다 하여 우두령이라 부른다.
우두령은 황악산, 삼도봉, 석기벙, 민주지산 등 높은 산들이 둘러 싼 오지로 접근성이 떨어져 려말 왜구의 노략질, 임진왜란, 한국전란 시에도 많은 사람들의 은신처가 되기도 했다.
임란 초기 왜군이 거창을 거쳐 전라도로 진입하려는데 당시 의병장 김연이 2000여 명의 의병을 매복시켜 1500여 명의 왜군을 대파하여 전라도의 곡창지대를 지키는데 공헌하였다.
한국전란시에는 빨치산의 활동지역이기도 하였다.
김연(金演)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
이칭 : 언홍(彦洪), 노항(魯巷)
출생 : 1552년(명종 7)
사망 : 1592년(선조 25)
본관 : 경주(慶州)
관련사건 : 임진왜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언홍(彦洪), 호는 노항(魯巷). 영천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카 김대해(金大海), 유생 최인제(崔仁濟)와 이일장(李日將)·정세아(鄭世雅)·정의번(鄭宜蕃)·이영근(李榮根)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영천성을 수복하였다.
이어서 경주를 수복하기 위해 경상좌병사 박진(朴晉) 휘하의 부대와 연합하여 왜군과 싸우다 전사하자 김성일(金誠一)의 장계로 그 자손에게 공역을 면제하였다.
영천의 고천서원(古川書院)에 위패를 봉안하였다.
참고문헌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난중잡록(亂中雜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연(金演)]
![]() |
![]() |
좌로 M자 모양의 산이 초점산(좌)과 대덕산(우)이다.
그 우측으로 멀리 희미하게 보이는 산이 덕유산.
우로부터 각호산, 민주지산, 석기봉, 삼도봉을 조망하고..
석기봉 정상에서 내려서면서 보니 무덤가에 할미꽃이 피었다.
여기서도 온 산에 미나리냉이가 흰색 꽃을 활짝 피웠다.
이건 아마 풀솜대의 꽃이 피기 직전인 듯
족두리풀이 들머리부터 많이 보이기는 했으나 꽃이 드러나게 보이는 건 흔치 않았다.
![]() |
![]() |
![]() |
![]() |
![]() |
![]() |
아래에서 보면 바위가 거의 직벽이라 아찔하게 보인다.
그런데 막상 오르면서 보면 손으로 잡을 곳과 발을 디딜 곳이 적당히 보인다.
5분이 채 걸리지 않을 정도다.
그러나
눈 비가 올 때는 접근을 삼가하는 게 좋을 것 같다.
푯대봉에서의 조망
폐광지역 안내판
큰애기나리
밀목재(밀목령)
등산로에 오른 후에는 가장 낮은 곳인 것 같다.
감투봉에 오르기 직전이다.
![]() |
|
![]() |
![]() |
삼도봉 방향을 바라보며..
하늘에서 한줄기 빛이 비치고 있는 듯 하다
![]() |
![]() |
![]() |
![]() |
![]() |
![]() |
삼마골재,
우두령에서 여기까지는 오늘이 첫길이다.
겨울이 아니어서 마음이 편하다.
좋은 날씨에 미답의 구간을 찾았다.
이후는 두어 번 지난 길이다.
박새
는쟁이냉이?
![]() |
||
![]() |
![]() |
![]() |
무덤골
6.25 때 많은 시체가 즐비하게 버려졌던 골짜기..
탐방객들의 눈길 한 번 더 줄 수 있는 마음을 기대한다....
쉼터
![]() |
![]() |
![]() |
![]() |
의용골 폭포
![]() |
음주암폭포 물한계곡에는 옥소폭포, 의용골폭포 등 여러 곳의 폭포와 소를 만나게 되는데 그 중의 하나가 음주암폭포. 구전으로 전해오는 음주암이라는 암자를 가기 전에 만나는 곳이 음주암폭포. --- 의용골폭포 안내 바로 앞에 있어서 같은 곳의 다른 이름인가 했는데 이 글과 사진을 보면 분명히 다른 곳임을 알 수 있다. 내 산행 속도가 늦어 종료 시간이 되어야 도착할 것 같아 아래 쪽의 화살표 안내를 무시하고 지나친다. |
여기서 발을 식히지 않으면 기회가 없다.
철망으로 모두 막혀 있으니...
![]() |
![]() |
![]() |
![]() |
![]() |
![]() |
![]() |
![]() |
![]() |
![]() |
![]() |
1998.4.1 폭설과 강풍, 혹한을 불구하고 특전정신으로 악조건과 싸우던 님들을 기리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보여주는 것과 숨겨진 것들을
분별하는 지혜를 가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