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山

통영 천암산 장골산 여황산 삼봉산 20191119 화

benel_jt 2019. 11. 19. 23:08

통영 천암산 장골산 여황산 삼봉산 20191119 화 한마음


코스 :  갈목마을 버스정류장-천암산(257.9m)-명정고개-석장승-장골산(179.2m)-여황산(173.9m)[북포루]-망일봉-굿산<뭇산?>(149.3m)-도로이동-일봉산(186m)-헬기장-이봉산(224.5m)-삼봉산(247.3m)-음촌


08:20 덕천동 버스 탑승
10:20 갈목마을 버스정류소 하차, 산행 시작
[천암산정상1.9]데크계단
10:23 [천암산1.8↑, 갈목마을→]
10:40 하항도 조망/무지개다리
10:53 산불예방시스템,데크계단
10:58-11:07 천암산(257.9m), 삼각점, 하항도,민양 조망
[명정고개2.4→, 갈목1.9, 해성아파트0.8↘] 산불초소
11:11 능선 좌측으로 사격장, 총소리
11:13 철근콘크리트 바닥구조물 4개, 정자기초인듯?
11:24 산불초소, 벤취 [명정고개0.8→, 천암산정상1.6←, 작은개1.7↙]
11:27 산불초소
11:33 [명정고개0.2↙, 천암산2.2←, 약수암1.0→]
11:37 명정고개 [천암산2.4↖, 북포루1.3→],석장승
11:44 대형헬기장
11:46 편백숲길
11:52 [어민회관0.9↖, 북포루0.5↗, 명정고개0.9←]
(어민회관방향 장골봉, 북포로 먼저 갔다가 장골봉으로 가는 게 좋을 듯)이 경우 망일봉, 뭇봉을 포기해야
11:55 자동화기진지
11:57 장골봉(179m)[어민회관0.75←, 북포루0.4↗, 명정고개1.1←]
12:01 [어민회관0.9, 북신성당0.6]
12:02 [어민회관1.0, 북포루, 명정고개]
12:04 북포루(北舖樓), 통영성 안내판, 수도전, 중식
12:28 통영성 안내판
12:32 법운암 입구
12:34 도로횡단
12:35 묘법사 입구
12:36 묘법사
12:39 도로횡단
12:43 비석1길 굴다리
12:45 선무원종공신 엄연상 묘
12:53 한국전력공사통영전력지사원아파트 옆, 철탑 바라보며
12:54 데크다리 건넘
12:55 초록 울타리 만나 우로 울타리 따라
12:56 감전주의 통과
13:01 철탑옆 통과
13:17 망일봉(149.3m) 정자
13:33 산죽 옆 하늘타리 열매,
13:35 남양홍씨묘, 잇단 묘
13:39 뭇산(126.5m서래야/113m준희)
13:42 큰 빈집 앞으로 돌아
13:52 철탑 아래 통과
13:56 도로 만남
14:01 미늘고개
14:09 굴다리 통과
14:19 도랑따라 잘못 간 길
14:29 되돌아 나옴
14:35 청구아파트 뒤 굴다리 통과
14:37 CCTV설치된 코너 앞의 묘역 시멘트길로 올라가면 등산로 입구인데, 기존 트랙 따라 우로 돌아..
14:38 오름길 만남
14:43 계단 오르면 바로 임도 만나고 좌로 임도 끝까지
14:45 묘역에서 오르는 수로를 따르면 될 듯..그런데 길을 따라야... 앞에 등산안내도, 계단 [삼봉산1.7]
14:54-15:00 일봉산(186m)[동달0.3, 이봉산06, 삼봉산1.4],산불감시시스템, 벤취, 거제 계룡산, 거제대교 조망
15:02 [일봉산0.2, 삼봉산1.3, 달포0.8]
15:11 헬기장
15:13 이봉산(224.5m)
15:14 [일봉산0.7, 삼봉산0.8]
15:20 [일봉산0.9, 대안마을0.6, 임도0.3, 삼봉산0.6]
15:25 무덤가에 핀 조개나물?
15:29 [삼봉산0.3, 이봉산0.5, 신리1.0]
15:34 삼봉산(247.3m), 산불초소, 삼각점, 전망대
15:45 하강계단, 임도, 좌로 음촌마을,낡은 등산안내도
15:53 음촌소류지
16:03 음촌마을, 길 건너편은 양촌마을
16:04 진양강씨 효행비/산행 종료

19:00 덕천동 하차
19:30 귀가


발이 빠른 분들은 오늘 충무의 문화재들을 많이 보고 올 수 있었는데, 나보다 3~4km를 같은 시간에 더 걸었다.

B팀은 오히려 알차게 보고 올 수 있었는데, 나는 충무시를 좌우로 횡단하듯 길게 걸었다는 느낌이다.

대부분이 기답지라고 빼었지만, 다시 볼만한 이유가 충분했는데 아쉽다.








천암산 GPX트랙 파일 첨부 : Tr통영천암산삼봉산20191119.gpx, 통영천암산삼봉산2019-11-19_10-19-47.gpx





















명정고개


석장승













통영성지[統營城址]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 북신동 일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지.
 
경남기념물 제106호 / 1991년 12월 23일 지정

크기 : 면적 156,851㎡, 둘레 약 3,660m, 높이 약 4.7m, 너비 4m

1991년 12월 23일 경상남도기념물 제106호로 지정되었다. 왜적을 방어하고 거주지와 생업지를 갈라 놓는 두 가지 목적으로 1678년(숙종 4)에 통제사 윤천뢰(尹天賚)가 축성하였다. 해발 174.2m, 높이 4.7m, 너비 4m, 둘레 약 3,660m이다. 북문 북쪽의여황산 기슭에서 서문 북쪽의 산기슭까지 여황산 양쪽 등성이 약 1km는 토성이고 나머지는 석성이다.

토성은 산등성이를 이용하여 기단부는 삭토식(削土式)으로 조성하다가 상부로오면서 석심(石心)을 넣고 흙을 다지면서 사다리꼴 모양으로 쌓았고, 석성은 남문을 위시한 4대문과 2암문(暗門) 양쪽에는 네모 반듯하게 다듬은 무사석으로 협축(夾築)하였다. 나머지 부분은 지세를 따라 사행(蛇行)으로 가면서 자연석으로 바깥쪽을 물림쌓기로 축성하고 안쪽은 흙과 잡석으로 밋밋하게 쌓아올린 내탁공법을 취하였다.

1985년 통제영이 없어지고 일제강점기에 성벽과 문루가 훼철되어 지금은 토성의 유지와 석성의 일부분만 남아 있다. 옛 통영성에는 동서남북 4대문과 2암문, 그리고 동·서·북쪽에 3포루(鋪樓)가 있었다. 동문은 홍예문(虹霓門)으로 축성할 때 함께 지었는데, 1748년 통제사 장태소(張泰紹)가 신흥문(新興門)이라는 편액을 문루에 걸었고, 1792년 통제사 이윤경(李潤慶)이 고쳐 지으면서 춘생문(春生門)이라하였다. 서문 역시 홍예문으로 축성 때 함께 지었는데 1790년 통제사신응주(申應周)가 고쳐 짓고 금숙문(金肅門)이라 하였다. 남문도 홍예문으로 축성시에 지었는데 일명 청남루(淸南樓)라 하였다. 1843년 통제사 허계(許棨)가 중수하였다.

북문은 통영성을 축성할 당시에는 문루가 없었으나 1771년 통제사 원중회(元重會)가 문루를 짓고 이름을 공북루(拱北樓)라 하였는데, 일명 의두문(依斗門)이라고도 하였다. 동·남의 두 암문은 성을 쌓을 때 함께 만들었는데 문루가 없었다. 동암문은 일명 수구문(水口門)이라고도 불렸는데 자세한 이유는 모르지만 항상 잠가두었다고 한다. 3포루는 1694년 통제사 목림기(睦林奇)가 세웠다.

통영성을 방비하던 산성중군(山城中軍)이 순찰과 경비를 하던 초소로 때로는 장수가 이곳에서 군사들을 지휘하였기에 장대(將臺)라고도 하였다. 북포루는 여황산 정상에있었는데 북장대라고도 불렀으며 1993년 2월에 복원되었다. 동포루는 성 동쪽 동피랑 꼭대기에 있어 동장대, 서포루는 성의 서쪽 서피랑 꼭대기에 있어 서장대라고도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통영성지 [統營城址] (두산백과)
======


통영성지[統營城址]

규모(면적) / 지정면적 15만 1695㎡
소재지 /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남도 시도기념물 제106호
문화재 지정일 / 1991년 12월 23일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과 북신동에 걸쳐 있는 조선시대의 성지.


경상남도 기념물 제106호. 지정면적 151,695㎡, 둘레 2,800m, 높이 4.5m, 너비 4m. 통영은 삼한시대에는 변진(弁辰)의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과 고자국(古自國), 삼국시대에는 소가야(小伽倻), 통일신라때에는 고성군(固城郡)에 소속되어 있었다.

고려 때에는 고성현과 거제현에 각각 소속되어 있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거제의 오아포(烏兒浦)에 둔 통제영(統制營)을 1602년(선조 35)에 이곳 두룡포(頭龍浦, 지금의 통영시)로 옮김으로써 한낱 포구에 지나지 않던 곳이 수군의 근거지로 되었던 것이다.

이 성은 왜적을 방어하고 거주지와 생업지를 갈라 놓는 두 가지 목적으로 1678년(숙종 4년)에 제57대 통제사 윤천뢰(尹天賚)가 축성한 것인데, 평지와 산지의 지형을 절충한 반산성식(半山城式) 성곽으로 해발 174.2m의 여황산(艅艎山)을 등에 지고 있다.

성의 구조는 4대문(大門), 2협문(夾門), 3포루(砲樓), 동서 목책(木柵), 좌우변 내장(內墻), 좌우 석주(石柱), 좌우 여첩(女堞) 각 10타(垛) 등과 아울러, 동쪽에 춘생문(春生門), 서쪽에 금숙문(金嘯門), 남쪽에 제남루(濟南樓), 동남쪽에 암문(暗門), 북쪽에 의두문(依斗門)이 있었다고 하나, 인가가 들어서고 시가지가 확장됨으로써 지금은 거의 없어지고 성문 초석만 몇 개 남아 있다.

《고성읍지 固城邑誌》 통영조에는 통영의 설치에 대하여 “선조 37년에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을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로 벼슬을 올렸다. 거제수영을 폐하고 옮겨 여기(통영)에 설치하여 통제영으로 삼았다. 통제사(統制使) 1원(員), 중군(中軍) 1원과 함께 비장(裨將, 副將), 왜학(倭學) 1인, 한학(漢學) 1인, 검률(檢律) 1인이 있었다.

산성은 둘레가 7리이고 표루(標樓)는 동·서·북의 세 곳에 있었다. 전함(戰艦)·좌선(座船) 1척, 부선(副船) 1척, 좌한선(左翰船) 1척, 우한선(右翰船) 1척, 좌탐선(左探船) 1척, 우탐선(右探船) 1척, 구선(龜船) 1척, 중군선(中軍船) 1척이 있다.” 라고 적고 있다. 이 가운데 선조 37년(1614)은 26년(1603)의 잘못으로 보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통영성지 [統營城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성곽 모형의 수도전


북포루







선무원종공신염언상묘[宣武原從功臣廉彦祥墓]

소재지 : 경상남도 통영시 정량동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남도 시도기념물 제117호/1992년 10월 21일 지정

경상남도 통영시에 있는 조선시대 공신 염언상의 무덤. 시도기념물.

선무원종공신 염언상은 1552년(명종 7) 전라도 보성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고 병서를 꾸준히 탐구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 장군의 휘하에서 보좌하였으며, 거제 옥포대첩에서는 적선 30여척을 격파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뿐만 아니라 한산도대첩에서도 공을 세워 훈련원첨정에 임명되었다. 그 뒤 이순신 장군이 모함을 받아 투옥되자, 낙향하여 차남 탁(倬)을 비롯하여 의병들을 이끌고 남원에서 활약하였다. 그리고 권율(權慄) 장군의 휘하에서도 활약하였다.

이처럼 장군은 임진왜란 때 영·호남 지역의 전투에서 많은 공을 세웠다. 묘의 형태는 원형분이며, 묘 앞에는 상석 및 기단석이 잘 정돈되어 있다. 입구에는 '宣武原從功臣廉彦祥事蹟碑(선무원종공신염언상사적비)’라고 새겨진 비가 서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선무원종공신염언상묘 [宣武原從功臣廉彦祥墓]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망일봉의 정자






하늘타리, 열매를 직접 보는 건 처음이다. 10년 정도 전에 얻은 건 한 있었지만..

꽃은 그 이듬해 담장을 넘어 길가에 보이는 곳에서 한 번...


뭇산인가, 굿산인가

고도도 제각각이다.

무덤이 많은 걸 보니 공동묘지산, 무덤산이라 묻산, 뭇산인가

아니면 망자의 원혼을 달래려고 한 굿판이 많아 굿산인가.

굿터가 될 수 있을만큼 공간도 되어 보인다.

바로 앞에 붙은 여항산은 잘못 붙었다. 고도까지도 맞지 않고...북포루를 '여황산'이라고 하는데.... 그 곳에 붙였다면 고도도 거의 비슷하다.






이 무덤길의 시멘트 수로를 따라 간다면 지름길이다. 그렇지만 대로행.. 

우로 조금만 가면 좌로 오르는 길

임도 만나 좌로 오르면 삼봉산 등산로가 계단으로 이어진다.



삼봉산 등산로 입구의 안내판


급경사 계단이라 모두가 허리가 앞으로 숙여진다

일봉산 앞의 이정표





중앙의 계룡산과 좌측의 거제대교

일봉산의 조망이 좋다, 거제 계룡산과 거제도 서부 거의 전체, 거제대교까지..










삼봉산 정상에 있는 산불초소









여기서 부터는 계속 임도를 걷는다.

마을이 보이면서 고개마루에 버스가 주차해 있는 게 보인다.

하산지점을 조금 바꾸어 차량을 이동했다면 어떨까 싶다.

도로변 주차는 불편할텐데....

지난 번 두승산 갈 때도 도로변에 세우라고 하는 걸 500m 이동해서 대형주차장과 화장실이 깨끗한 곳을 추천해 주었는데...



마을 표석은 거의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날머리의 진양강씨 효행비, 역시 도로가에 있다.




통영천암산삼봉산2019-11-19_10-19-47.gpx
0.73MB
Tr통영천암산삼봉산20191119.gpx
1.8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