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山

전남 구례군 천마산 견두산 20190316 토

benel_jt 2019. 3. 16. 23:31

전남 구례군 천마산 견두산 20190316 토 산하

산행 코스 : 고산터널입구주차장-천마산(656.1m)-상무봉(640m)-둔사재-견두산(774m)마애불-계척봉(775m)-밤재-숙성재-솔재-수락폭포-수락주차장


10:25 고산터널 500m앞의 도로옆 주차장
10:31 천마산등산로입구(터널앞 약100m)
10:32 고산터널 [둔산치0.5, 천마산1.8, 깃대봉2.5]
10:34 [천마산1.3]
10:40 [천마산0.68, 깃대봉???]
10:41 [천마산0.84, 깃대봉1.86]
10:48 [등산로입구0.5, 천마산정상0.2]
10:52 [천마산0.08, 깃대봉2.32]
10:54 산불감시시스템
10:55 천마산정상(656.1m), 해맞이터
11:23 상무봉() [천마산1.72, 견두산3.28]
11:31 망루터 [천마산2.22, 견두산2.78]
11:39 둔사재
11:43 [←천마산, 견두산1.9, ↘수지유암리3.1]
11:44 [천마산3.14, 견두산1.86]
11:52 [견두산1.4, 수암리3.6]
11:54 헬기장 [천마산3.64, 견두산1.36][밤재5.6, 고산터널입구...]
11:58 능선삼거리 [천마산3.86, 견두산1.14]
12:12 현천삼거리 [천마산4.84, 견두산0.16, 현천마을3.0]
12:19~38 견두산(774m)
12:40 견두산 마애여래입상
12:48 [견두산0.4, 진곡마을3.4][밤재3.7, 고산터널입구5.9]
13:03 계척봉()
13:05 삼각점, 계척봉, 견두지맥775.1m
13:23 자귀나무쉼터
13:27 견두지맥686.7m
13:29 [견두산2.9, 밤재주차장1.2]
13:40 견두산산하쉼터 [견두산2.6, 밤재0.4, 쉼터30m]
13:45 데크게단 내림
13:46 밤재정상 주차장(490m) [밤재터널1.1, 견두산4.2, 월암29.8]
13:50 왜적침략길불망비(남원동학농민기념사업회) 밤재 [견두산3.0, 숙성치2.1]
14:00 철탑
14:21 [앞밤재1.4, 가마바위0.28]
14:28 가마바위 [숙성골0.1, 시루봉0.28]
14:36 숙성치 [밤재2.1, 솔재1.3]
15:14 솔재 [밤재3.4] <↑국립공원의 출입금지 안내>
15:39 임도
15:46 주택지, 도로
15:49 도로이탈 산길진입
15:51 경주정씨가족묘
15:58 급경사내리막계단, 아래는 수락폭포
16:01 수락폭포
16:22 수락폭포 입석
16:25 수락폭포 유료주차장(폭포까지 2분거리)
16:30 주차장 도착 / 산행 종료


지난 주의 매화축제에 이어 산수유축제.
매화축제의 번잡함 때문에 버스의 진출입에 폐단이 적지 않았다.
오늘은 축제장은 가지 않기로 하고 16:40까지 하산하기로 했는데 버스가 들머리를 찾는데 날머리의 주소를 입력하여 10여분의 시간 지체가 있었다.
6년 전의 경우 모 산악회에서도 차량 이동 문제로 한시간 이상의 시간 손실이 있어 정작 축제장에 도착한 시간에는 일몰이 지난 시간이었던 일이 있었다.
역시 축제장을 중심으로 한 산행은 인파를 늘 고려해서 결정해야겠다.
이전에는 밤재에서 시작하여 고산터널 입구에서 마쳤는데, 오늘은 반대로 출발해서 밤재를 지나 솔봉 아래의 솔재에서 하산하기로 한 것이다.
처음 생각은 밤재에서 시작하여 솔봉으로 갔다가 하산할까 했는데, 밤재까지의 이동도 문제가 되고, 길도 좋지않다는 이야기가 있어 함께 고산터널에서 출발했다.
밤재에서 마치면 좋았겠지만 차량이 불편해서 완주하기로 했는데, 솔재까지의 길이 만만한 거리가 아니었다.
견두산 정상의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이 많이 마모된 것 같다.
밤재에서 임도를 따라 가마바위까지 가도록 트랙이 만들어져 있었는데, 바닥시그널은 좌로 돌아 능선을 따라 갔다.
'왜적침략길불망비'를 세워두었는데 이 역시 남원동학농민기념사업회가 최근에 세운 것이었다.
능선을 따라 가면서 남원 방향을 바라보니 온통 산이 깎여 태양열집열판으로 포장한 것 같았다.
평지에도 상당한 면적에 보였다.
녹화사업과 대비 되는 이 일이 훗날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염려스럽다.





구례 견두산 GPX 트랙 파일 첨부 : 구례천마산견두산수락폭포2019-03-16_10-24-53.gpx












하차지점은 고산터널 앞 500m지점의 주차장



앞에 고산터널,,여기서 산길 시작



천마산 정상





정상에서 조망




노루귀와 제비꽃



상무봉 정상 표지


















제작연대는 고려시대 전반~중반 경으로 추정된다.
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199호
수지면 고평리 견두산 정상 부근 거대한 바위에 새겨져 있는 이 불상은 무릎 이하 부분이 결실되어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 어려우나 연꽃을 새긴 좌대를 포함한 전체의 높이는 3.2m에 이른다.
반원모양의 눈썹과 약간 치켜 올라간 듯한 눈, 두툼한 코, 꽉 다문 입이 전체적으로 딱딱한 느낌을 주지만 신체는 크고 우람하다....
제작연대는 고려시대 전반~중반 경으로 추정된다.






























수락폭포





영춘화


분홍노루귀와 제비꽃







산동면에서는 산수유 축제중이다.


구례천마산견두산수락폭포2019-03-16_10-24-53.gpx
0.19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