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금산(329m,부안),우금산성 개암사
우금산(329m,부안),우금산성 개암사
우금산(329m,부안),우금산성 개암사
변산 우금산(禹金山)은 개암사(開巖寺)의 병풍역할을 하는 산으로 변한과 백제 멸망의 가슴 아픈 사연을 안고 있다.
정상부의 우금산성은 삼국시대 석축산성으로 3km 넘는다.
신라 장군 위금(位金)이 성을 쌓아 위금산성, 삼한시대에 우(愚)와 진(陳) 두 장군이 성을 쌓고 주둔해 우진산성으로 불린다는 기록도 있다.
그러나 이 성은 백제 의자왕 20년(660년) 무렵 나당연합군 김유신 장군과 소정방에게 패한 유적지로 보고 있다.
하나의 석성을 놓고 여러 이름이 있지만 우금산성으로 통일하는 게 좋을 듯하고, 일곱 봉우리 전체를 부를 때는 우금산, 정상의 바위는 우금암으로 부르기로 한다.
주류성은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멸망하는 과정에서 마지막까지 저항했던 비극의 역사 현장이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개암사 입구에는 백제를 멸망시킨 신라 김유신 장군의 사당이 버티고 있다.
역사는 승자의 편.
따라서 그 사당은 백제의 마지막 저항군을 섬멸하고 소정방과 김유신이 축배의 술잔을 나눴을 것이고, 사당은 그 후 지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개암사는 조계종 선운사의 말사로 백제 무왕(634년) 때 묘련왕사가 창건했다.
개암의 유래는 변한의 문왕이 진한과 마한의 난을 피하여 성을 쌓을 때 우(禹). 진(陳) 두 장군에게 왕궁의 전각을 짓게 하고, 동쪽은 묘암(妙巖), 서쪽은 개암(開巖)으로 불렀다.
원효와 의상대사가 우금암 밑 우금굴에서 수도하며 중수했다.
1314년(고려 충숙왕) 원감국사가 조계산 송광사에서 와서 중창하여 30여 동의 건물을 세우고 대승불교의 경전인 능가경을 가르쳤기에 능가산으로 부르고 있다.
조선 중기의 건물인 대웅전(보물 제292호)과 동종, 그리고 중건사적기가 있는데, 백제 부흥군이 주류성에서 왜병과 나당연합군의 전쟁을 기록해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산행코스 : A) 상서-기차바위-장수치-우금산성-우금암-삼예봉갈림길-학치-개암사(5시간)
B) <상동>-우금암-개암사 (4시간)
C) 봉은-(개암산천)-우금산성-우금암-개암사 (3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