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山

경주포항 소형산 옥녀봉 형산 산행 20170216 목

benel_jt 2017. 2. 16. 21:54

.

경주포항 소형산(140m), 옥녀봉(224.9m), 형산(257m) 산행

20170216 목 / 등네미 4명


코스 : 연일석재입구→연일부조정(소형산)→연일생태숲전망대→옥녀봉→운제봉갈림길→형산→국당1리표석


06:40 화명-숙등-거제-신해운대-08:00
09:45 국당1리(중명골)입석, 대두암,정국사 입구 하차 후 출발
09:50 연일석재 입구, 들머리 안내판, 부조정 안내
[무장봉 21.6, 시루봉 13.9, 운제산 13.5, 연일부조정(소형산)0.4]
10:02~05 조망터 [부조정 0.2, 중명리 0.3, 생태공원전망탑 4.7]
10:12 부조정(소형산) 정상
10:21 [연일부조정(소형산)-0.6, 무장봉 20.6, 운제산 12.5]
10:24 [연일부조정(소형산)-0.8, 무장봉 20.4, 운제산 12.3, 중명마을회관 0.9]
10:34~43 [연일부조정(소형산)-1.4, 무장봉 19.9, 운제산 11.7] 9분간 갈림길탐방
11:10 직진 버리고 우측으로 돌아 계곡으로 빠져 하천 방향 임도
11:12 하천 횡단
11:16 세심정(등산로가 아님)
11:19 주차장입구 옆 건물 앞에 좌측으로 등로가 있음
11:36 [생태공원전망탑 0.5, 중명자연생태공원주차장 0.8, 생태공원해시계광장 0.6]
11:44 [생태공원전망탑 0.1, 중명자연생태야생화단지 0.3, 생태공원해시계광장 1.0]
11:45 부조장의 유래
11:47~12:23 연일생태숲전망대(중식)
1228 옥녀봉
12:34 옥녀봉이야기 안내 [생태공원 1.41, 소형산정상 4.88, 연일읍민운동장 1.64]
12:50 운제산갈림길 [무장봉 18.0, 운제산 9.8, 연일부조정(소형산) 4.3, 중명생태공원 2.0, 옥녀봉 0.9]
12:51 해넘이전망대쉼터
12:53 [무장봉 18.1, 운제산 9.9, 옥녀봉 1.1, 연일읍민운동장 2.7, 연일부조정 3.2, 해넘이전망대 0.3]
12:59 253.2m봉 [무장봉 18.3, 운제산 10.2, 해넘이전망대 0.1, 연일부조정(소형산 2.9), 경주 왕사리↓]
13:11~22 등산길↓갈림길 [무장봉 19.2, 운제산 11.1, 연일부조정(소형산) 2.0, 경주국왕리↓]
13:29 메타쉐콰이어습지, 새싹
13:37 입산금지현수막 삼거리
13:39 바로 오르는 길 있으나 임도 따름
13:45 굽은 길 치고 오름
13:47 버스회차 지점
13:48 좌측 임도, 차도 이탈, 안동권씨 가족들 묘 연속, 처사들, 화려한 석물들
※능선 좌측의 좁은 임도 좋음, 능선오르면 잡목, 가시로 막힘
14:13 형산 정상(257m)
14:15 산불초소 망루형
14:26 절 뒤쪽 출입로(자전거는 내려서.../그러고 보니 이 산에는 자전거 타기가 좋은 길)
14:28 왕룡사
14:46 바위전망대
14:28 국당1리(중명골)입석 하산 완료



형산강[兄山江]

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포항시


정의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경주시·포항시를 지나 동해의 영일만으로 흘러드는 강.


내용 : 길이 61.95㎞, 유역면적 1,140㎢. 남한에서 동해로 흘러드는 강 중에서 가장 크고 유역에 형성된 충적평야도 가장 넓다.
본류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에서 발원하여 언양단층선의 북쪽 연장선을 따라 북북동류하다가 경주시 부근에서 지류인 건천(乾川)·남천(南川) 등을 합류하여 경주시 부근에 넓은 분지상 충적평야, 즉 경주평야를 형성한다.
계속 북북동쪽으로 흘러 경주시 안강읍 부근에서 기계천(杞溪川)과 합류하며 이 부근에 다시 분지상의 안강평야를 만든다. 여기서 유로를 동북동으로 바꾸어 형산제산지협(兄山弟山地峽)을 지나 영일만내에 삼각주성 충적평야인 포항평야를 형성하고 바다로 흘러든다.
일반적으로는 태화강(太和江)의 지류인 동천강(東川江)과 형산강의 지류인 남천, 그리고 경주시 이하의 형산강 본류를 따라 형성된 저지대를 형산강지구대라고 부르나, 지구대로 단정할 확실한 단층구조가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이 강 유역에는 신라의 고도 경주가 자리하고 있으며, 하구에는 포스코(POSCO;舊포항종합제철)가 위치하고 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경주시, 포항시를 지나 동해 영일만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62㎞. 남한에서 동해사면으로 흐르는 강 중에서 가장 크고 유역에 형성된 충적평야도 가장 넓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형산강[兄山江]


어린 시절 지리부도에서 형산강지구대라는 말을 처음 보았지만 이 강이 형산강이라는 걸 알 게 된 건 그리 오래지 않았다.
그리고 형산이라는 이름이 맏형(兄)자를 쓴다는 것도 상상도 못했던 것, 형산에서 강 건너의 산이 제산(弟山)이라는 사실도 이제야 확인할 수 있었다.
더구나 형산제산협곡(兄山弟山地峽)도 눈으로 보고서야 알 수 있었다.

등산로는 초입부터 잘 다듬어져 있고, 고도도 높지 않고, 기복도 심하지 않아 가족단위의 산책로도로 무난할 정도일 뿐 아니라 자전거로 도전하기에도 어렵지 않을만하다.

등산로 주변에 명심보감의 글귀들이 소개되어 읽을꺼리들도 있다.
옥녀봉에는 옥녀의 전설과 농바위에 얽힌 전설, 생태전망대 부근에는 한 판으로 만든 동화들까지, 몇 판이 있었다.
전망대에 올라가니 사방의 조망이 좋고, 영일만 주변으로 이어진 호미지맥이 장쾌한 모습으로 드러나 있다.

일몰전망대 부근에서 등산로로 표시된 하산길은 오르며, 내리며 두 번을 확인하였지만 우리의 등산로는 형산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일몰전망대에ㅔ서 부터의 형산 방향 길은 발길이 많이 지난 곳이 아니고, 시멘트길과 임도를 지기도 한다.
형산으로 접어들면서부터는 등산로 주변이 온통 안동권씨 일가의 무덤들이다.
관직명은 보이지 않고 모두 처사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웬 석물들이 그렇게 화려한지, 뭘 자랑하려는 걸까 싶은 생각이 끊어지지 않은 체 정상까지 이어진다.

포크레인이 아직도 산길을 깎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는 곳이 보인다.
덕분에 편하게 다녔지만 훼손은 좀 심한 것 같다는 느낌을 금할 수 없다.
아마도 더 좋은 계획을 가지고 한 일이려니 기대하면서 지나간다.

형산강의 이름이 형산에서 온 걸까.
형산의 이름이 형산강에서 온 걸까.

형산강의 하구에 가까운 형산, 건너편은 제산이다.
저 산도 한 번 답사할만하다고 마음을 모으며 마무리를 했다


 



 


 

 

 

 

 


 

 연일부조정(소형산)


 생태숲전망대


 전망대에서 포항시가지 조망


 



전망판/클릭하면 확대

 


 



 

 

연일부조장의 흔적들





 


 형산의 옥녀봉 설화도 부조장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효심이 지극한 옥녀가 부조장터에 어머니의 병구완을 위한 약을 구하러 갔다가 젊은 상인을 만나지만, 젊은 상인이 혼인비용 마련을 위해 장사를 떠난 후 소식이 없자, 옥녀는 산봉우리에 올라가 형산강 하구를 하염없이 바라보다가 쓰러져 죽어 그 봉우리를 옥녀봉이라 했다고 한다.




형산 정상의 산불초소


왕룡사..


경주포항 소형산 옥녀봉 형산 산행

20170216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