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마산합포구 적석산 산행 20170121 토
마산 적석산 산행
20170121 토 산하
코스 : 성구사 → 적석산 → 구름다리 → 음나무재 → 깃대봉 → 일암저수지 → 적석산공영주차장 <8.78km/4:11>
09:44 적석산건강마을앞
09:45 변씨 성구사
10:33 옥수봉(391.5)
10:42 작은국수봉(434.5)[정상 0.9, 옥수곡↓, 진전면→]
10:44 [임도길 0.5, 옥수골 1.1, 적석산 0.9]
10:47 옥수봉(433.0)
10:57 국수봉(474.9)
11:11 [적석산 0.06, 주평리 3.0, 적석암 0.8, 옥수암 1.2, 임도길 1.2]
11:12 [정상 0.1, 옥수골저수지 2.0, 일암저수지 1.0]
11:12 계단
11:16 정상
11:42~45 출렁다리
11:49 통천문
11:52 [정상 0.2, 구안면주평→]
12:04 [정상 1.2, 일암저수지 1.2, 구이면]
12:06 [정상 1.47, 깃대봉 구만면주평]
12:16 저수지
12:18 음나무재 [적석산 1.2, 벌밭돌,깃대봉 1.8]
12:32 독립가옥 옆
12:57 깃개봉() [선동치 0.7, 일양리공영주차장 2.2, 효열공고종후묘소입구 2.6]
13:36 천운암?
13:41 초계변씨진사공묘소입구, 도로
13:52~14:08 적석산공용주차장..산행종료
성구사(誠久祠)
고려말 충신 변빈(卞贇)선생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변연수(卞延壽)장군과 그의 아들 변입(卞岦)의 충절을 기리는 사당이다.
변빈 선생은 고려 공민왕조(1351-1374) 문하평리(정2품)로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성만용, 정몽주, 홍재, 이색, 조열, 김성목, 이오 등 많은 충신들과 함께 망국의 한으로 슬퍼하다가 기약없이 스스로의 뜻에 따라 행동키로 결의하고 선생은 두문동(개성시 서쪽 15리)에 들어가 고려에 대한 불사이군의 절의를 다하고 죽으니 두문동 72현의 한 분이시다.
변연수 장군은 조선 중종 33년(1583년) 이 곳에서 태어나 무관에 급제하고 훈련원 주부의 벼슬에 올랐으나 휴관으로 향리에서 쉬고 있을 때 임진왜란(1592년)을 맞게 되자 아들 변입에게 나라에 목숨을 바칠 때라 이르고 즉각 격문을 내어 원근에서 의병을 모아 인근 장병골에서 훈련, 연해의 출몰 왜적을 격퇴하고 이순신 장군 휘하에 합류하여 당포와 옥포에서 적을 크게 무찔러 혁혁한 전공을 세웠으며 정유재란(1597년) 때 당포해전에서 아들 변입과 함께 사력을 다해 적과 싸우며 용전하다 순국하셨다.
아들 변입은 전사한 아버지의 시신을 안고 통곡하며 父命에 따라 마지막까지 분전하다 그도 또한 아버지의 뒤를 따라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나라에서는 변정수 장군에게 증 병조판서 아들 변입에게 증 죄승지의 첩지를 내리고 고향에 정려(삼강려)를 내려 후세 귀감으로 삼게 하였다.
세상에서는 이 세 분을 일러 변씨삼현 또는 삼충이라 일컫는다.
성구사는 후손들과 전국유림에 의하여 1914년 인근 서제골에서 이곳에 이축하여 세워졌으며 매년 제향을 올린다.
그리고 경내에는 도산서원과 일신제 존양제 등 부속건물이 있다.
성구사 옆의 하마비
깃대봉 능선
들머리 쪽의 산불초소에서 바라본 와우산
둘째 줄의 가운데가 인성산
와우산과 인성산은 오늘 산불초소에 근무하신 박현규님이 친절하게 안내해 주시기에 감사드리며
대구에서도 한 팀이 와서 정상이 인산을 이루었다.
적석산 출렁다리
통천문...깃대봉에서 넘어가는 길목에
적석산 표석
적석산의 명물인 출렁다리
깃대봉 정상 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