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도 생명

주목의 빨간 열매

benel_jt 2016. 11. 14. 08:53



주목 열매


 

 

주목


■ 식물명 : 주목 (정명, 이명 추가 20121113 화솔나무, 적목, 경복, 노가리나무)
■ 학명 :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 분류군 : Taxaceae(주목과)
■ 일어 : イチイ
■ 영문 : Rigid-branch yew
■ 개화기 : 4월, 결실기 : 4월
■ 꽃색 : 초록, 빨강

■ 생육환경
◎ 잎 : 잎은 나선상 배열로 옆으로 뻗은 가지에서는 깃모양으로 보이며 선형이고 길이 1.5 ~ 2cm, 폭 3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한 미철두(微凸頭)이며 넓은 예저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 2줄의 연한 황색줄이 있으며 주맥이 양쪽으로 도드라지고 잎이 2~3년만에 떨어진다.
◎ 꽃 : 암수딴그루로서 4월에 피며 수꽃은 6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고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이 있으며, 암꽃은 10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다.
◎ 열매 : 열매는8 ~ 9월에 익으며 컵같은 적색 종의(육질씨껍질)안에 5mm의 종자가 들어 있다. 암수나무가 따로 있는데 암나무는 가을에 동그랗고 빨간 열매가 열리므로 더 아름답다.
◎ 줄기 : 높이 17m, 지름 1m에 달하고 가지가 퍼지고 큰 가지와 줄기가 적갈색이다. 일년생가지는 녹색이나 2년후 갈색으로 변한다.
◎ 뿌리 : 잔뿌리가 많다.
◎ 가지 : 가지가 퍼지고 큰 가지와 줄기가 적갈색이다. 일년생가지는 녹색이나 2년후 갈색으로 변한다.
◎ 분포 : 극동러시아, 중국, 일본; 우리나라 제주도,백두대간 중심으로 자생.
◎ 형태 : 상록침엽교목, 수형:원뿔모양
◎ 크기 : 높이 17~20m, 지름 1m
◎ 잎 : 선형이고, 나선상으로 달리지만 옆으로 뻗는 가지에서는 깃처럼 보인다. 길이 7~21.2mm, 너비 1.7~3.3mm이다. 끝이 뾰족한 미철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유관속 1개, 수지구는 관찰되지 않는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중앙부가 약간 돌출된다. 뒷면에 2줄의 기공선이 있다. 기공의 공변세포와 부세포는 블록 형태로 돌출된다. 잎은 2~3년 만에 떨어진다.
◎ 생육환경 : 아고산지대 또는 고산지대 능선 및 사면
◎ 목재 : 연륜계가 좁고 다소 불명확하며, 수지구와 수지세포는 관찰되지 않는다. 벽공비후는 나선상비후가 나타나며, 방사조직은 단열이다.
◎ 열매 : 삼각상 난형 또는 난상 구형이며, 길이는 6.9~8.0mm, 너비는 8.0~9.5mm이고, 컵 모양의 붉은색 열매의 육질씨껍질 속에 종자가 들어있으며, 종자의 길이는 5.2~6.0mm, 너비는 4.2~5.6mm이다. 결실기는 8~9월이다.
◎ 특징 : 이 종과 비교하여 잎이 넓은 것을 회솔나무[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Pilg.) Nakai]라 하여 일본, 중국 및 국내의 평북, 평남, 함남, 함북, 울릉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akai, 1938). 그러나 타 지역(1.7-3.3mm)과 울릉도(2.5-4.1mm)의 주목 잎의 너비를 비교 관찰한 결과, 중복 관찰되어 명확한 분류형질을 찾기 어렵다.
기재정보 : 형태 상록 교목이며, 높이 17m, 지름 1m에 달하고, 가지가 퍼진다. 수피 큰 가지와 줄기는 적갈색이며, 어린 가지는 녹색이다. 목재 연륜계가 좁고 다소 불명확하며, 수지구와 수지세포는 관찰되지 않는다. 벽공비후는 나선상비후가 나타나며, 방사조직은 단열이다. 잎 선형이고, 나선상으로 달리지만 옆으로 뻗는 가지에서는 깃처럼 보인다. 길이 7~21.2mm, 너비 1.7~3.3mm이다. 끝이 뾰족한 미철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유관속 1개, 수지구는 관찰되지 않는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중앙부가 약간 돌출된다. 뒷면에 2줄의 기공선이 있다. 기공의 공변세포와 부세포는 블록 형태로 돌출된다. 잎은 2~3년 만에 떨어진다. 꽃 개화기는 4월, 암수딴그루, 수꽃은 도란형 또는 구형이고, 길이는 3.5mm 정도이며, 0.5~1.0mm의 자루가 있고, 6개의 인편으로 싸이며,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을 가진다. 암꽃은 난형이고, 녹색이며, 10개의 인편으로 싸이고,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구과 삼각상 난형 또는 난상 구형이며, 길이는 6.9~8.0mm, 너비는 8.0~9.5mm이고, 컵 모양의 붉은색 열매의 육질씨껍질 속에 종자가 들어있으며, 종자의 길이는 5.2~6.0mm, 너비는 4.2~5.6mm이다. 결실기는 8~9월이다.
◎ 번식방법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1.실생 : 파종은 노지에 가매장하였다가 봄에 파내어 밭에 파종한다.
2.삽목 : 삽목의 시기는 4-5월이 적기이나 더운 곳에서는 3월에도 할 수 있다. 이때는 비닐로 삽목상 위를 씌워 보온한다. 삽목후에는 해가림을 해 주어야 한다.
◎ 유사종
▶회솔나무(var. latifolia Nakai) : 엽폭이 3-4.5mm이며 중부 이북과 울릉도에서 자란다.
▶설악눈주목 (T. caespitosa Nak.) : 원줄기가 옆으로 기며 가지에서 뿌리가 발달하여 눈잣처럼 된다.
▶구주주목(T. baccate) : 유럽, 북미, 북아프리카 등이 원산이며 서구의 정원에 여러가지 모양으로 깎아 다듬어가며 기른다.
◎ 생육환경
▶높은 산에서 자란다.
▶내한성과 내음력이 좋으며 토심이 깊고 습윤비옥한 곳에서 잘 자란다. 옮겨 심어도 잘 자라지만 가을에 이식하면 한풍해가 심하다. 노지에서 월동하며, 남부지방에서는 정원수로 적합치 않다.
▶높은 산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므로 도시에서는 여름의 고온건조한 양지보다는 적습비옥한 반음지가 좋다.
◎ 번식방법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1.실생 : 파종은 노지에 가매장하였다가 봄에 파내어 밭에 파종한다.
2.삽목 : 삽목의 시기는 4-5월이 적기이나 더운 곳에서는 3월에도 할 수 있다. 이때는 비닐로 삽목상 위를 씌워 보온한다. 삽목후에는 해가림을 해 주어야 한다.
◎ 재배특성
비옥한 사질양토로 적습지에서 잘 자란다. 보통으로 관수 관리하나 내건성 식물이기도 하다. 환경내성은 보통이며, 이식이 용이하고 생육은 느린편이다.
음수성이므로 유묘일 때에는 해가림을 해 주면 더욱 생장에 좋다.
4월, 6-10월경 삽목시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 이용방안
▶주요 조림수종 : 내음수종
▶정원수, 공원수, 생울타리용, 토피아리용(Topiary), 독립수, 분재용으로 쓰인다.
▶목재는 조각재, 공예재, 기구재, 건축재로 사용된다.
▶열매는 독이 있어서 먹으면 설사를 하나, 지엽(枝葉)을 지삼(紫蔘)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잎은 diterpenes 화합물을 함유한다. 즉 taxinine, taxinine A,H,K,L 등을 함유하며 또 ponasterone A, ecdysterone, sciadopitysin을 함유한다. 일년생가지는 taxine을 함유하고 莖皮(경피)는 항백혈병작용과 항종양작용이 있는 taxol을 함유하며 心材(심재)는 taxusin을 함유한다.
②약효 : 이뇨, 通經(통경)의 효능이 있다. 신장병, 당뇨병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잎은 3-6g, 껍질을 벗긴 작은 가지면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 보호방안 : 기후변화에 따른 자생지 환경의 악화가 우려된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 유사종
▶회솔나무(var. latifolia Nakai) : 엽폭이 3-4.5mm이며 중부 이북과 울릉도에서 자란다.
▶설악눈주목 (T. caespitosa Nak.) : 원줄기가 옆으로 기며 가지에서 뿌리가 발달하여 눈잣처럼 된다.
▶구주주목(T. baccate) : 유럽, 북미, 북아프리카 등이 원산이며 서구의 정원에 여러가지 모양으로 깎아 다듬어가며 기른다.
◎ 특징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소백산의 주목 군락은 천연기념물 제244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면적:45,000ha ⓒ지정사유:학술림 ⓓ수령:200~500년
▶변재는 폭이 좁으며 황백색이고 심재는 자홍색 또는 맑은 홍색으로 심, 변재의 구분이 분명하고 나이테가 뚜렷하다. 목리는 통직하고 재질이 우량하며 특수용재로 쓰이고 가공성이 양호하고 접착성은 보통이며 심재의 내후 보존성은 보통이며 건조와 도장, 연삭이 양호하고 할열이 용이하며 광택이 있다.
▶천연기념물
①제244호 ②소재지: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어의곡리 ③지정사유:학술림 ④면적:148,760㎡
◎ 병해충정보
병해 : 잎마름병
충해 : 선충
◎ 방제방법
▶잎마름병:배수가 잘 되도록 하고 질소 비료를 적게 시용하며 나무아래에 부초를 해준다. 발병 초기에는 다이센 M-45 600배액 이나 디포라탄 800배액 또는 안트라콜 800배액을 7-10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살포한다.
▶선충 : 메틸브로마이드, DD, EDB, DBCP, 베이팜 등의 토양훈증제로 토양훈증을 하여야 한다.
◎ 분포 :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자생
◎ 형태 : 상록 교목이며, 높이 17m, 지름 1m에 달하고, 가지가 퍼진다.
◎ 꽃 : 개화기는 4월, 암수딴그루, 수꽃은 도란형 또는 구형이고, 길이는 3.5mm 정도이며, 0.5~1.0mm의 자루가 있고, 6개의 인편으로 싸이며,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을 가진다. 암꽃은 난형이고, 녹색이며, 10개의 인편으로 싸이고,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 수피 : 큰 가지와 줄기는 적갈색이며, 어린 가지는 녹색이다.
◎ 이용방안
▶주요 조림수종 : 내음수종
▶정원수, 공원수, 생울타리용, 토피아리용(Topiary), 독립수, 분재용으로 쓰인다.
▶목재는 조각재, 공예재, 기구재, 건축재로 사용된다.
▶열매는 독이 있어서 먹으면 설사를 하나, 지엽(枝葉)을 지삼(紫蔘)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잎은 diterpenes 화합물을 함유한다. 즉 taxinine, taxinine A,H,K,L 등을 함유하며 또 ponasterone A, ecdysterone, sciadopitysin을 함유한다. 일년생가지는 taxine을 함유하고 莖皮(경피)는 항백혈병작용과 항종양작용이 있는 taxol을 함유하며 心材(심재)는 taxusin을 함유한다.
②약효 : 이뇨, 通經(통경)의 효능이 있다. 신장병, 당뇨병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잎은 3-6g, 껍질을 벗긴 작은 가지면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 원산지 : 한국, 일본, 중국, 극동 러시아
◎ 크기 : 높이 17~20m, 지름 1m
◎ 재배특성 : 비옥한 사질양토로 적습지에서 잘 자란다. 보통으로 관수 관리하나 내건성 식물이기도 하다. 환경내성은 보통이며, 이식이 용이하고 생육은 느린편이다.
음수성이므로 유묘일 때에는 해가림을 해 주면 더욱 생장에 좋다. 4월, 6-10월경 삽목시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 방제방법
▶잎마름병:배수가 잘 되도록 하고 질소 비료를 적게 시용하며 나무아래에 부초를 해준다. 발병 초기에는 다이센 M-45 600배액 이나 디포라탄 800배액 또는 안트라콜 800배액을 7-10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살포한다.
▶선충 : 메틸브로마이드, DD, EDB, DBCP, 베이팜 등의 토양훈증제로 토양훈증을 하여야 한다.
◎ 보호방안 : 기후변화에 따른 자생지 환경의 악화가 우려된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병해충정보
병해 : 잎마름병
충해 : 선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