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에서 구미 금오산
김천에서 구미 금오산
금오산(金烏山·977m)은 북동방면 구미시와 남쪽 칠곡군, 그리고 서쪽방면 김천시가 어깨를 걸치고 있는 산이다.
이 산은 백두대간 상의 대덕산(1,291m)에서 남동으로 가지를 친 수도지맥을 모산으로 한다.
수도지맥은 수도산(1,317m)에서 계속 가야산으로 이어진다.
수도산에서 북동으로 또 가지를 치는 능선이 삼방산(864m)~염속산(870m)~백마산(715.7m)을 지난 다음, 마지막으로 들어 올린 산이 금오산이다.
금오산을 지난 잔릉들은 감천과 낙동강에 이르러 모두 가라앉는다.
금오산의 원래 이름은 대본산 또는 남숭산으로 불리다가 당나라 대각국사가 이곳에 와서 수도하던 중 저녁놀에 황금빛 까마귀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
금오산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또한 금오산은 고 박정희 대통령이 태어난 산이다.
이 산 동릉 끝머리인 구미시 상모동에 생가가 보존되어 있다.
금오산은 70년 6월 1일 우리나라 최초로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다.
금오산 정상 현월봉(顯月峰)이 60년만에 온전히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지난 1953년 한미행정협정(SOFA)에 따라 미군 통신기지(22,585㎡)가 금오산 정상에 들어서면서 출입이 통제되어 정상보다 10m 낮은 지점이 정상을 대신했다.
금오산의 산행 교과서는 구미시내 공원 관리사무소 주차장에서 도선굴~대혜골, 도선굴~할딱고개~마애불~약사암, 법성사~약사암을 경유하는 코스로 되어있다.
또한 구미시내 반대편인 남쪽 칠곡군 방면에도 금오동천을 비롯하여 여러 등로가 발달되어 있다.
오늘 우리가 오를 김천시 부상고개 들머리는 일부 금오지맥과 겹친다.
김천시에서 이정표는 물론 계단과 전망대를 조성하여 산행편의를 도모해 놓았다.
그러니까 교과서를 마스트하면 다른 참고서를 들여다보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날머리는 금오산 남릉(금오동천 방향)으로 내려서다 남동쪽 소림사 능선으로 갈아탄다.
소림사 능선은 부처님바위(미륵바위,남근석)가 도드라진 밧줄구간이 있는 암릉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소림사를 지나 만나는 석굴은 기도터로서 출입구 높이 4m에 폭 10m. 안쪽 깊이가 8m 가량 된다.
금곡마을에 이르기 까지 석암사와 굴암사 등 고만고만한 암자들이 여럿있다.
산행 코스 : 산행코스: 부상고개-제1,2전망대-금오지맥-금오산성-현월봉-남릉-부처님바위-소림사-석암사-금곡마을 (9.7km,5.5시간)
제1전망대
제2전망대와 정상
부처님바위,미륵바위,남근석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