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지도
공개바위(755m,산청),꽃봉산 산행 정보
benel_jt
2016. 6. 10. 08:41
공개바위(755m,산청),꽃봉산
산행코스 : 엄천교-평촌동-꽃봉산(731m)-공개바위-엄천교(원점회귀, 5시간 30분)
산행지는 지리산 자락 북동쪽 끄트머리다.
먼저 답사하게될 바위는 '한국판 피사의 사탑'으로 불리는 산청군 방곡리의 '공개바위'.
조물주가 만든 것인지, 사람이 만든 것인지 정확하지 않은 이 신비한 바위는 지리산권 일부 주민들만 알고 있다가 10여년 전 알려지기 시작했다.
해발 755m 산비탈을 딛고 우뚝 솟은 이 바위는 둥그스름한 바윗돌 5개가 높다랗게 쌓여진 석탑 모양을 하고 있다.
민속놀이인 공개받기할 때 공개를 닮아 공개바위라고 부른다.
10m가 넘는 높이에 무너질 듯 무너질 듯 무너지지 않고 오랜 세월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서 있는 것이다. (경상남도 기념물 제266호)
능선을 타고 군계능선을 곧장 이어가면 와불산을 만나고 그 아래에는 함양독바위와 안락문(安樂門)이 있다.
지리산 3대 독바위는 진주독바위와 하동독바위 그리고 함양 독바위이다.
함양독바위는 지리산 동부권 어디에서 보아도 유달리 도드라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아래 용유담 부근이나 견불사(見佛寺)에서 능선을 바라보면 흡사 누워있는 부처님 모습으로 보여 와불산(臥佛山) 또는 부처바위로 부른다.
점필재 김종직이 함양군수로 내려와 두류산(지금의 지리산)을 유람하고 쓴 유두류록(遊頭流錄)에는 폐사된 칠암자의 고열암에서 하룻밤을 잔 기록이 있다.
필자는 예전 그 칠암자를 답사하러 독바위 부근 능선을 헤집고 다닌 적이 있다.
<참고 유두류록 ☞ "http://blog.daum.net/bok-hyun/371",
☞ "http://blog.daum.net/bok-hyun/372">
☞ "http://blog.daum.net/bok-hyun/372">
또 그곳에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인 빨치산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이다.
여자 빨치산 3인조(정순덕,이은조,이홍희) 중에서 끝까지 저항하다 63년도에 사살된 이은조의 비트(선녀굴)가 있는 곳이다.
여자 빨치산 3인조(정순덕,이은조,이홍희) 중에서 끝까지 저항하다 63년도에 사살된 이은조의 비트(선녀굴)가 있는 곳이다.
한국전쟁이 발발된지 66주년, 호국의 달 6월에 마음으로만 새겨도 의미있을 것.
지리산 둘레길 4구간은 원래 송대를 거치는 구간( 정순덕의 진술기록)
☞ http://blog.daum.net/bok-hyun/3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