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남정맥?
금남정맥 錦南正脈
♣ 금남 정맥이란 ♣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의 도 접경지에 위치한 백두대간상의 영취산(1075m)에서 뻗어내려 장안산(1,237m), 팔공산(1,151m), 성수산(1,059.2m), 마이산(685m), 부귀산(806.4m)을 지나 금남정맥과 호남정맥으로 갈리는 지점인 전라북도 진안군과 완주군 접경에 위치한 주화산(565m)까지를 금남호남정맥이라 하며(도상거리 약 65km), 주화산에서 운장산(1,126m)을 지나 대둔산(878m), 계룡산(845m)을 거치며, 충청남도 부여의 부소산에 이르는 금강 줄기 남쪽에 자리한 산줄기를 금남정맥이라 한다.
(도상거리 약 124km)
국립공원 계룡산을 비롯하여 도립공원 대둔산 등 유난히 명산을 많이 지나치므로 정맥꾼들에게는 이른바 "정맥의 꽃"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입봉, 연석산, 운장산, 장군봉, 백암산, 인대산, 대둔산, 월성봉, 바랑산, 깃대봉, 함박봉, 천호봉, 천마산, 계룡산, 성항산, 금성산, 부소산 등이 산줄기를 이루고 있으며, 그 중 산줄기에서 살짝 비켜나 있는 운장산(1126m)이 최고봉이다.
금남정맥의 정의
주화산(珠華山, 600m)에서 시작하여 왕사봉·대둔산을 지나 계룡산으로 이어지고 부여의 부소산에서 끝나는 산줄기의 옛 이름.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전라북도 장수군 장안산(長安山)에서 시작된 금남호남정맥이 끝나는 주화산에서 왕사봉(王師峰)·배티[梨崎]·대둔산(大屯山)·개태산(開泰山, 또는 天護峰)·계룡산· 널티[柄崎]·망월산(望月山) 등으로 이어져 부소산의 조룡대에 이른다. 이 산줄기의 동사면(東斜面)을 따라 흐르는 물은 금강의 상류를 이루고 서사면(西斜面)을 따라 흐르는 물은 만경강(萬頃江)을 이루며, 일부는 금강 하류로 흘러든다.
금남정맥의내용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줄기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령들을 기본정맥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그 이름이 강 이름과 관련되어 있다.
이 산줄기는 금강의 남서쪽을 지나므로 금남정맥이라 한 것이다. 금강 상류유역과 만경강유역을 구분짓는 산줄기로 동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금강 상류를 이루며, 서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만경강을 이루고 일부는금강 하류로 흘러든다.
연결되는 주요 산은 왕사봉·배티[梨峙]·대둔산·황령(黃嶺)·개태산(開泰山 혹은 天護峰, 360m)·계룡산·널티[板峙]망월산(望月山)·부소산 등으로 그 길이는 약 118㎞이다.
이 산줄기가 시작된 주화산에서 남쪽으로 연결되는 호남정맥과 함께 전라북도의 동쪽 산간지방과 서쪽 해안의 호남평야를 경계짓고 있다.
| |||
구간 | 종주코스 | 거리(km) | 시간 |
1 | 모래재~주화산~입봉~연석산~운장산~피암목재 | 17.5 | 6 |
2 | 피암목재~675.5~장군봉~653봉~큰사리재~금만봉~작은싸리재 | 11+2.5 | 5 |
3 | 작은싸리재~태평봉수대~신선봉~계목재~백암산~독수리봉~백령고개 | 13.4+2.5 | 6 |
4 | 백령고개~622.7봉~인대산~오항고개~428.4봉~514.4봉~배티재 | 13.4 | 5.5 |
5 | 배티재~대둔산~깔딱재~무수재~월성봉~바랑산~물한이재 | 12.6 | 6 |
6 | 물한이재~364.5봉~곰치재~덕목재~깃대봉~함박봉~황령재~양정고개 | 18.4 | 7 |
7 | 양정고개~멘재~큰서문대리재~계룡산~관음봉~수정봉~만학골 | 17.3 | 6 |
8 | 만학골~윗장고개~팔재산~성항산~반송고개~복령고개 | 15.9 | 6 |
9 | 복령고개~진고개~160.5봉~감나무골고개~262봉~가자티고개 | 11 | 4 |
10 | 가자티고개~조석산~금성산~부소산~구드레나루 | 16.3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