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덕산 산행 코스 지도
.
둔덕산 산행 코스
1. 대야산자연휴양림-둔덕산-백두대간갈림길-밀치-용추계곡-휴양림(12.3km/6시간)
2. 대야산자연휴양림-둔덕산-마귀할멈통시바위-월영대-용추계곡-휴양림(약9.5km)
3. 대야산자연휴양림-둔덕산-손녀마귀통시바위-월영대-용추계곡-휴양림(약8km)
둔덕산은 문경8경 중의 하나인 선유동계곡을 품고 있다.
문경8경
① 새재계곡 ② 백운대(白雲台) ③ 선유동계곡(仙遊洞溪谷) ④ 용추계곡(龍楸溪谷)
⑤ 운달계곡(雲達溪谷) ⑥ 경천댐 ⑦ 진남교반(鎭南橋畔) ⑧ 쌍룡계곡(雙龍溪谷)
선유구곡
① 옥사대
② 낙성뢰
③ 영귀암
④ 탁정대
⑤ 관란담
⑥ 세심대
⑦ 활청대
⑧ 영사석
⑨ 옥하대
둔덕산은 국운이 위태롭던 한 말에 일본 침략자에 항거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에 걸쳐 13년간 오로지 의병대장으로서 활동하고 순국한 전국도창의대장 운강 이강년 선생 탄생과 관련 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운강 선생은 1858년 12월 30일 둔덕산이 바로 보이는 가은읍 완장리에서 태어 났는데 태어나기 3일전부터 둔덕산이 웅웅 소리를 내며 울었다고 한다.
당시 사람들은 둔덕산이 우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하며 신기해 하였으나 운강 선생이 태어나자 울음이 그쳤다고 전한다.
정상에 서면 생가터가 똑바로 보이며, 현재는 생가터를 경상북도에서 지방 문화재로 지정 보호하고 있고 운강 선생 기념사업도 계속 추진 중에 있다.
============
이강년 [李康秊, 1858~1908]
한말의 의병장.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문경의 동학군을 지휘했고 을미사변 때는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켜 유인석 의병부대의 유격장으로 문경·조령 등지에서 활약했다. 충주를 공격했고 가평·인제·강릉·양양 등지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본관 전주
호 운강(雲崗)
별칭 자 낙인
활동분야 독립운동
출생지 경북 문경
주요수상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962)
==
본관 전주(全州). 호 운강(雲崗). 자 낙인(樂仁/樂寅). 1880년 무과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이 되었으나, 1884년 갑신정변 때 낙향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문경의 동학군을 지휘, 일본군과 탐관오리를 무찔렀다. 1895년 을미사변 때는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이어 제천(堤川)으로 유인석(柳麟錫)을 찾아가 사제(師弟)의 의를 맺고, 유인석 의병부대의 유격장으로서 문경·조령(鳥嶺) 등지에서 활약하였다.
1907년 일본의 침략정책이 더욱 노골화되자 영춘(永春)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켜 때마침 원주(原州) 진위대를 이끌고 봉기한 민긍호(閔肯鎬)부대와 합세, 충주(忠州)를 공격하였다. 그후 가평(加平)·인제(麟蹄)·강릉(江陵)·양양(襄陽) 등지에서도 큰 전과를 올렸다.
1908년 용소동(龍沼洞)·갈기동(葛其洞)·백담사(百潭寺)·안동서벽(安東西壁) 전투 등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나, 청풍(淸風)의 금수산(錦繡山)에서 체포되어 사형당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