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山

함안 자양산 산행 20190207 목

benel_jt 2019. 2. 7. 22:01

함안 자양산 산행 20190207 목 한마음

코스 : 도천버스정류장 - 무학산갈림 - 임도사거리 - 서나무고개 - 자양산-  도암종택지 - 문암산-고려동유적지 - 도천



11:34 도천마을버스정류장, 등산로입구[자양산정상4.3]
11:58 [도천0.9, 자양산3.4, 금동굴2.1, 호곡4.3]
12:15 [도천2.1, 자양산2.2, 갈전0.6]
12:19 화개지맥316m봉
12:22 순흥안씨묘
12:23 [자양산2.0, 산인갈전0.92, 산인장내0.89]
12:27 송전철탑
12:29 임도삼거리 [자양산1.57, 칠원장암2.0, 칠원갈전1.4]
12:37 정자, 임도계속
12:41 좌측 황씨묘 안내석
12:42 우측 안씨묘 안내석
계속 임도로 가야하는데, 바로 옆의 산길 선택, 잡목으로 불편
12:54~58 자양산정상석(402m), 삼각점(400.6m), 산불초소, 활공장
[3.2←대천마을→3.2, 운곡마을2.1,  ]
13:00 [자양산0.1, 대천마을3.1, 안인(외동)마을1.7]
13:04 KBS창원방송국자양산중계소, 여기가 실제 정상부
13:07 정상100m 앞, 전망대, 나무로 전망 없음
임도에 붉고 긴 산수유 열매들이 떨어져 있는데 가로수들이 모두 산수유..
13:17 정자(12:37에 지난 곳)
13:32 임도삼거리(2015년도 간선임도 신설사업표지비)
13:32 임도이탈, 대숲으로 내려섬
13:42 도암종택<훈련원 판관을 지낸 조탄(1552~1612)의 고택이나 담장안은 건물지만 있고 텅 비어 있으며 좌측 바깥부분에 사당인 듯 한 부분만 남겨두었다.>
13:43 [문암산0.2,문암초교0.4]
13:48 문암산 [수동마을0.2,문암초교0.2], 부사직 여주이공의 묘
13:58 장내마을회관
13:59 고려교, 고려동유적지
14:00 고려진사모은이선생경모비
14:03 모은이오종택
14:13 갈전노인정
14:29 도천 등산로입구
14:32 산방버스 주차장 산행종료
===





 

 

트랙 첨부 : Tr함안자양산20190207.gpx


 자양산 등산 기록


 


 

도천마을 들머리

 

 


 

 


 

 


 

 

자양산 정상표지 (402m)  / 정상의 산불초소 / 삼각점

 


 정상석이 있는 곳에서 바라본 통신시설이 있는 비슷한 높이의 지도상 자양산 정상


 산수유 열매가 많이 떨어져 도로가 벌겋게 보일 정도


 

도암 종택 표지석, 도암은 조탁의 호, 비석에 기록된 생몰연대를 보면 1552~1612이다.

세종7년에 출생해서 광해군4년에 별세.좋은 세상에 태어나서 단종과 세조의 피 흘리는 정권교체기를 거쳐 임진왜란까지 겪고, 광해군 4년까지 살았으니, 병자호란은 겪기 전이었다. 그런데, 조선 말기인 고종 4년에 벼슬이 추증되었다. 이 해에 경복궁의 근정전이 이룩되었다....

고종실록 4권, 고종 4년 12월 28일 정미 2번째기사 1867년 조선 개국(開國) 476년  

<충신, 효자, 열녀에 대한 별단을 올리다>

경기 어사(京畿御使) 박재관(朴齊寬), 영남 어사(嶺南御使) 박선수(朴瑄壽)가 충신, 효자, 열녀에 대하여 별단(別單)을 올리니, 벼슬을 추증하거나 표창하는 문을 세워줄 것을 명하였다.

함안(咸安)의 고(故) 판관(判官) 조탄(趙坦), 의성(義城)의 고 찰방(察訪) 신적도(申適道)는 충절로, 진주(晉州)의 고 선비 최규환(崔奎煥), 상주(尙州)의 고 진사(進士) 김재현(金載顯), 안동(安東)의 고 선비 김동규(金東奎), 대구(大邱)의 고 선비 신덕우(申德佑)는 효행으로 모두 벼슬을 추증하였다. 안의(安義)의 고 지방 아전(衙前) 김득상(金得尙), 의성(義城)의 고 양인(良人) 김익성(金益聲), 문경(聞慶)의 고 양인 박일성(朴日晟), 영천(永川)의 고 양인 이개지(李開之)는 효자의 행실로, 예천(醴泉)의 고 양인 김복암(金福巖)의 아내 권씨(權氏), 경산(慶山)의 유학(幼學) 이석동(李錫東)의 아내 정씨(鄭氏), 영해(寧海)의 고 선비 남지환(南趾煥)의 아내 박씨(朴氏), 거제(巨濟)의 고 선비 강두황(姜斗璜)의 아내 구씨(具氏), 영양(英陽)의 고 선비 조병성(趙秉誠)의 아내 김씨(金氏), 동래(東萊)의 고 한량(閑良) 송방류(宋邦騮)의 아내 정씨(鄭氏), 금산(金山)의 고 양인 백수권(白守權)의 아내 임씨(林氏), 울산(蔚山)의 고 선비 안상훈(安尙勳)의 아내 서씨(徐氏), 성주(星州)의 고 선비 김주하(金柱廈)의 아내 권씨(權氏)는 열행(烈行)으로 모두 마을에 표창하는 문을 세워주며, 이천(利川)의 지평(持平) 벼슬을 추증한 홍병검(洪秉儉), 그의 아들인 동몽 교관(童蒙敎官)의 벼슬을 추증한 홍달섭(洪達燮)은 효행으로, 장단(長湍)의 고 학생 홍재관(洪在寬)의 아내 심씨(沈氏)는 열행으로 모두 마을에 표창하는 문을 세워주었다.】


 


문암산 정상 / 문암산성이 있는 문암산이 아니다.







<모은(茅隱) 이선생 행록 참고>
재령이씨, 휘는 오(午), 호는 모은(茅隱)
공양왕 때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시기가 적당치 못하다며 벼슬하기를 거절하였다.
고려가 망하자 고려조의 충신들이 두문동에 들어가고, 공은 함주(함안)에 내려와 은거하며 울타리를 치고 '고려동'이라 하였다.
시를 지어 '요순시대는 다시 만날 수 없으니...'
무성한 수풀 속에 자미화(紫薇花,백일홍)가 아름답게 피어 있어 살만한 곳으로 정한 곳이 모곡이다.
그 후에 후손들이 정자를 지어 편액을 자미정(紫薇亭)이라고 하였다.

모은 이오 종택




고려진사모은이선생경모비



배롱나무(백일홍, 자미화紫薇花)


원점회귀라 도로를 한참이나 이동해...



Tr함안자양산20190207.gpx
0.1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