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뱅이<common breea>(국화과,compositae)
Cephalonoplos segetum, Breea segeta f. segeta (Wild.) Kita m.
[자라귀, 조바리, 지칭개, 조병이]
밭 가장자리나 빈터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줄기가 나와 25~50cm 높이로 곧게 자란다.
줄기에 어긋나는 긴 타원형 잎은 가장자리에서 가시같은 털이 있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암수 딴그루로 줄기와 가지 끝에 분홍색 꽃송이가 한 개 씩 달린다.
종모양의 총포는 포 조각이 8줄로 배열되며 흰 털로 덮여 있다.
털이 달린 씨는 바람에 날려 퍼진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줄기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7~10cm로서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이 둥글고
거미줄 같은 백색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끝에 가시가 달린 치아모양 톱니가 있고
작은 자모(刺毛)가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꽃은 암수딴그루며
5~8월에 피고
지름 3cm로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종형이며
지름 25mm로서 수꽃의 것은 길이 18mm, 암꽃의 것은 길이 23mm이고
백색 털로 덮여있다.
포편은 8줄로 배열되며
외편이 가장 짧고
중편은 피침형으로서 가시처럼 뾰족하며 끝부분이 흑색이다.
꽃부리는 자주색으로서 수꽃의 것은 길이 17~20mm,
암꽃의 것은 길이 26mm 이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으로서 길이 3mm 정도이며
털이 없고 8~9월에 익는다.
관모는 길이 28mm 이다.
줄기는 높이 25~50mm이며 줄기에 줄이 있고 자줏빛을 띠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적게 갈라지고 거미줄이 있거나 없다.
근경은 길고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밭둑이나 빈터, 평지의 길가, 산기슭의 건조지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전초, 또는 근을 소계라 하여 약용한다.
잎을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요건 책에 없는데 실제로 흰즙이 나온다.
조뱅이
개화 : 5,6,7,8월
결실 : 8,9월
꽃색 : 자주색
• 분포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 형태
두해살이풀이다.
• 크기
높이 25-50cm정도로 자란다.
•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줄기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7-10cm로서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이 둥글고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끝에 가시가 달린 치아모양톱니가 있고 작은 자모(刺毛)가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 꽃
꽃은 암수딴그루며 5-8월에 피고 지름 3cm로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종형이며 지름 25mm로서 수꽃의 것은 길이 18mm, 암꽃의 것은 길이 23mm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다. 포편은 8줄로 배열되며 외편이 가장 짧고 중편은 피침형으로서 가시처럼 뾰족하며 끝부분이 흑색이다. 꽃부리는 자주색으로서 수꽃의 것은 길이 17-20mm, 암꽃의 것은 길이 26mm이다.
• 열매
수과는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으로서 길이 3mm정도이며 털이 없고 8-9월에 익는다. 관모는 길이 28mm이다.
• 줄기
높이 25-50cm이며 줄기에 줄이 있고 자줏빛을 띠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적게 갈라지고 거미줄털이 있거나 없다.
• 뿌리
근경은 길고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 생육환경
▶밭둑이나 빈터, 평지의 길가, 산기슭의 건조지에서 자란다.
•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국화과 식물에 좋은 염색 재료가 많지만 조뱅이는 문헌에 기록이 없다. 지상부를 잘라내어 잘게 썰어서 끓여 짙은 색의 염액을 얻었으나, 천에 물든 색은 옅어서 반복하여 염색하였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은 좋아서 다양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
▶全草(전초) 또는 根(근)을 (소계)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조뱅이는 alkaloid, saponin 등을 함유한다.
③약효 : 凉血(양혈), 祛痰(거담), 止血(지혈)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尿(혈뇨), 血淋(혈림), 血便(혈변), 血崩(혈붕), 급성전염성 간염, 創傷出血(창상출혈), (정창), 癰毒(옹독)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5-10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하던가 짓찧어낸 생즙 또는 가루를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던가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 유사종
▶흰조뱅이 (for.lactiflora Kitam.): 백색 꽃이 핀다.
•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국화과 식물에 좋은 염색 재료가 많지만 조뱅이는 문헌에 기록이 없다. 지상부를 잘라내어 잘게 썰어서 끓여 짙은 색의 염액을 얻었으나, 천에 물든 색은 옅어서 반복하여 염색하였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은 좋아서 다양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
▶全草(전초) 또는 根(근)을 (소계)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조뱅이는 alkaloid, saponin 등을 함유한다.
③약효 : 凉血(양혈), 祛痰(거담), 止血(지혈)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尿(혈뇨), 血淋(혈림), 血便(혈변), 血崩(혈붕), 급성전염성 간염, 創傷出血(창상출혈), (정창), 癰毒(옹독)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5-10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하던가 짓찧어낸 생즙 또는 가루를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던가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분포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 줄기
높이 25-50cm이며 줄기에 줄이 있고 자줏빛을 띠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적게 갈라지고 거미줄털이 있거나 없다.
•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줄기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7-10cm로서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이 둥글고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끝에 가시가 달린 치아모양톱니가 있고 작은 자모(刺毛)가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 유사종
▶흰조뱅이 (for.lactiflora Kitam.): 백색 꽃이 핀다.
• 생육환경
▶밭둑이나 빈터, 평지의 길가, 산기슭의 건조지에서 자란다.
• 크기
높이 25-50cm정도로 자란다.
• 뿌리
근경은 길고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 꽃
꽃은 암수딴그루며 5-8월에 피고 지름 3cm로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종형이며 지름 25mm로서 수꽃의 것은 길이 18mm, 암꽃의 것은 길이 23mm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다. 포편은 8줄로 배열되며 외편이 가장 짧고 중편은 피침형으로서 가시처럼 뾰족하며 끝부분이 흑색이다. 꽃부리는 자주색으로서 수꽃의 것은 길이 17-20mm, 암꽃의 것은 길이 26mm이다.
• 열매
수과는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으로서 길이 3mm정도이며 털이 없고 8-9월에 익는다. 관모는 길이 28mm이다.
• 형태
두해살이풀이다.
.
'잡초도 생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찔레꽃 (0) | 2016.05.13 |
---|---|
살갈퀴에 꼬투리열매가 맺히기 시작했다 (0) | 2016.05.13 |
메꽃 (0) | 2016.05.13 |
잎이 작은 고추나무 (0) | 2016.05.13 |
노랑꽃창포 (0) | 2016.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