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다리는 별로 주목을 받지도 않았다.
어제의 비로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있었기에
이 정도는 큰 피해에 들지도 않아...
낙동강하구에서 양산물문화관으로 가는 자전거길 길목에는 꼭 이 길을 거쳐야 한다.
어제의 비로 인하여 자전거길이 엉망이 되었을 거라는 예상을 하고 갔지만
이건 상상도 못했던 일이다.
화명역 부근에서 진입하는 지하통로는 뻘투성이 진창이다.
이미 나갔다가 돌어오는 두 명의 라이더는 신발을 벗어 들고 자전거를 밀고 왔다.
약간의 오르막이기 때문에 그랬겠지.
나는 탄 채로 서행을 했다.
빠른 속도로 가면 뻘투성이를 뒤집어 쓰겠기에...
작은 차도를 횡단하여 자전거도로로 진입하는 샛길은 패여서 들어가기가 불편하여
보드블록을 따라 북구구민운동장을 거쳐 가기로 하고 방향을 잡았다.
운동장에서 한 고령의 라이더가 만류한다.
금곡동의 다리가 함몰되었다고..
그렇지만 내 눈으로 확인하고 싶었다.
가다가 2km 정도 남은 거리에서 비슷한 연배의 한 분에게 도로 상태를 물으니
길이 좋다고 한다.
금곡역 앞에 가니 줄이쳐 있었다.
꼭 가야하는 젊은이는 발을 벗고 물을 건넜다.
기울어진 교량을 잡고...
그런데 보니 참으로 형편없이 만들어진 교량인 것 같다.
아니 교량 자체는 잘 만들었다는 표현이 맞겠다.
그런데 물언저리와 만나는 부분의 공사가 엉망이다.
전혀 보강공사가 안된 상태로 시멘트로 된 작은 다리만 얹어둔 상태 같았다.
급류에 저쪽 양산방향의 언덕이 모두 깎여 나가서 다리가 앉아버린 것이다.
되돌아 나와서 도로를 따라 호포로 가서 양산 물문화관까지 갔다왔다.
다른 곳은 별 문제가 없는 듯했다.
돌아오는 길에 고속도로까지 오기 전에 황산언 안내판이 있는
작은 떡뫼가 있는 곳의 자전거길은 물이 빠지지 않았다.
50m 정도는 될까.
깊이가 깊지는 않아 5~8cm 정도일까.
덕분에 흙탕이 된 바퀴를 세차한 셈이다.
올 때도 금곡동 구간은 도로로 우회했다.
호포에서 부터 끝까지 차도 옆으로 달릴 수 밖에 없었다.
내일은 접이식 미니벨로를 타고 넘어가서 타야겠다.
오는 길에 양산의 50대 라이더를 만났는데
양산에 MTB공원인가 하는 게 있단다.
한 번 찾아가 보아야겠다.
금곡동의 교량이 속히 복구되기를 바란다.
그래야 부산의 라이더들이 제대로 이용할 수 있고
하구언 쪽으로 내려오는 이들도 이 곳을 지나야 하는 곳이다.
제발 이런 재난들이 사라졌으면 좋을텐데....
지금은 복구 작업중이다. 옆에다 임시인지 시멘트 길로 양생중이고...
20140904 촬영
9/9현재 양생중인 옆길은 아직 미개방이다.
포크레인이 와서 무너진 다리에 ㅁ리하게 뛰지 않아도 될 정도로 임시조치는 해 두어서 다행이다.
속히 마무리 되어 안전한 통로가 되기를 바란다.
'두 바퀴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금에서 삼랑진 라이딩, 그리고 하동에서 섬진강하구 (0) | 2015.01.29 |
---|---|
금년 감기는 독하다 (0) | 2014.11.22 |
금정산성 고개에서 화명동까지 미니벨로 타고... (0) | 2014.08.11 |
12일간을 쉬고 다시 20km를.... (0) | 2014.06.03 |
양산지역 자전거 탐방 (0) | 2014.04.22 |